세계일보

검색

중국, ‘親대만’ 공화당 의원 이메일도 해킹…피해 확산 우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08-16 06:00:00 수정 : 2023-08-16 07:23:46

인쇄 메일 url 공유 - +

미국 정부 기관을 포함해 25개 기관의 마이크로소프트(MS) 이메일 계정을 공격한 중국 해커들의 표적에 공화당 의원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15일(현지시간) 공화당 소속 돈 베이컨(네브라스카) 하원의원은 ‘X’(옛 트위터)계정을 통해 전날 연방수사국(FBI)으로부터 자신의 이메일이 중국해커들에게 뚫렸다는 통지를 받았다고 밝혔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방위 소속인 베이컨 의원은 “나는 열혈 대만 지지자“라며 “그들이 나를 망신주거나 정치적으로 깎아내리고자 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FBI에 말했지만 나는 부끄러울 것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워싱턴포스트(WP)는 “베이컨 의원이 해킹 사실을 통보받은 것은 불과 어제였으며, 이는 추가적인 피해자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앞서 미국 정부와 MS는 지난 5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한 달여 기간 동안 중국 해킹 그룹이 국무부와 싱크탱크 등 25개 기관의 이메일을 무더기로 해킹했다고 공개했다.

피해 계정에는 대(對)중국 제재의 선봉에 서 온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을 비롯해 니컬러스 번스 주중미국대사,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의회에서는 이번 사태에 대해 당국이 전방위 조사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민주당 소속 론 와이든 상원 금융위원장은 앞서 지난달 27일 매릭 갈런드 법무장관과 라이나 칸 연방거래위원회(FTC) 위원장, 젠 이스터리 사이버인프라보안국(CISA) 국장에게 이번 사태에 대한 전방위 조사를 촉구하는 서한을 발송했다.

와이든 위원장은 “MS의 보안 소홀로 정부 이메일이 도난당했다”며 “MS는 2017년부터 고객 서버에서 디지털 키가 유출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정부 기관 등에 알리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정진수 기자 je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브 장원영 '깜찍한 브이'
  • 아이브 장원영 '깜찍한 브이'
  • 아이브 안유진 '심쿵 미소'
  • 블랙핑크 지수 '여신이 따로 없네'
  • 김혜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