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노인 10%가 치매…대화 분석으로 치매 조기 발견 기술 개발 나선다

입력 : 2024-05-07 10:46:30 수정 : 2024-05-07 10:46:3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한국전기연구원(KERI)이 일상 대화를 분석하는 것으로 치매 전(前)단계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나서 주목된다.

 

7일 KERI에 따르면 KERI 전기의료기기연구단 소속 청각인지 뇌기능 연구팀의 박영진 박사팀이 노년층의 일상 생활 대화 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의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경도인지장애는 아직 치매는 아니지만 인지기능 검사에서 같은 나이, 같은 교육 수준, 같은 성별의 정상인보다 인지기능이 떨어진 상태다.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의 10~15%가 매년 치매로 진행돼 ‘치매 전단계’로 인식된다.

 

중앙치매센터가 최근 발표한 연차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기준 국내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2030년에는 136만명이, 2050년에는 302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KERI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창의협융합연구사업 지원을 받아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사업을 총괄하는 기관으로 업무 수행하고 있다.

 

사업단은 ‘노인 친화형 발화(책을 읽거나 질문에 답하기 등 언어를 음성으로 표현하는 것) 데이터 수집 기기’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정보 빅데이터(발화, 청각인지 뇌파, 청력)를 수집한 뒤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경도인지장애 고위험 노인들을 선별 및 모니터링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 기술의 목표는 무엇보다 편리함과 정확성이다.

 

가볍게 보청기 같은 기기를 착용하고, 신경인지기능 검사기기 앱(App)을 설치하면 된다.

 

사업단은 이 앱을 통해 일상생활 환경에서 주로 활용되는 발화 패러다임을 분석, 평균 20회 정도의 대화 턴(turn) 발화 정보만으로도 80% 이상의 정확성(민감도)으로 퇴행성 뇌기능 저하 고위험군을 선별한다는 계획이다.

 

KERI는 개발된 연구 결과를 활용해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노인복지관을 포함한 지역사회 어르신 약 100명을 대상으로 실증을 진행 중에 있다.

 

현재까지 6명의 경도인지장애 환자 및 7명의 의심 대상자를 선별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8월까지 추가로 150명의 복지관 어르신에 대한 실증을 통해 안산시 거주 노인들의 헬스케어 지원 및 기술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후에도 실증을 희망하는 지방자치단체를 발굴해 대상 범위를 1000명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다.

 

나아가 해당 기술은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자 맞춤형 인지기능 개선까지 연계할 수 있어 치매 위기를 사전에 관리해 증상을 늦추는 데도 적용 가능해 파급력이 매우 클 것으로 보고 있다.

박영진 KERI 박사.

박영진 KERI 박사는 “치매 조기 발견을 통해 치료 시기를 1년만 앞당겨도 1인당 수천만원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는 것은 물론 천문학적인 국가적·사회적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고, 더 오랫동안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집에서 편리하게 짧은 시간 검사 참여로 경도인지장애 고위험군 선별이 가능할 수 있도록 좋은 결과를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강승우 기자 ksw@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손예진 '순백의 여신'
  • 손예진 '순백의 여신'
  • 이채연 '깜찍하게'
  • 나띠 ‘청순&섹시’
  • 김하늘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