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는 스타벅스를 안 마실 겁니다.”
스타벅스가 최근 가격 인상을 단행한 데다 ‘친이스라엘’ 기업으로 인식 되면서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4/06/11/20240611501505.jpg)
9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스타벅스에서 모카커피를 자주 마셨다는 미국 아이다호주 주민 앤드루 버클리(50)는 이 음료 가격이 최근 6달러(약 8200원)를 넘어가자 스타벅스를 끊기로 했다.
인플레이션으로 스트레스를 받아왔다는 버클리는 최근 스타벅스가 가격까지 인상하자 “다시는 안 돌아올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대신 집에서 커피를 내려 마시거나 더 작은 커피 체인점으로 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고물가의 여파로 지갑을 닫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스타벅스가 고전하고 있다.
올해 초 스타벅스의 전 세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다. 최대 시장인 미국에선 최소 1년 이상 영업한 점포 매출이 3% 줄었다. 2009년 금융위기 사태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지난 4월 발표한 1분기 실적도 실망 스럽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하고 순이익은 무려 15%나 줄었다. WSJ에 따르면 1분기 스타벅스 미국 매장을 찾은 방문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7% 줄어 2010년 이후 가장 큰 분기별 감소폭을 보였다.
랙스먼 내러시먼 스타벅스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콘퍼런스콜에서 “최근 매출이 실망스러웠다”면서 “특히 중동지역에서의 잘못된 정보가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4/06/11/20240611501504.jpg)
반면 국내 스타벅스는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매출이 신장했다.
스타벅스코리아(SCK컴퍼니)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398억원으로 전년 대비 14.2% 늘었다. 지난해 매출액은 2조9295억원으로 전년 대비 12.9% 증가했다.
지속적인 신규점 출점이 효과를 낸 것으로 풀이된다. 스타벅스 총 점포수는 지난해 말 기준 1893개점으로 전년 대비 23개점 늘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올해 점포가 2000개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연중 프로모션 호조 등에 따라 매출은 증가했고, 각종 원가 및 제비용 관리를 통해 이익은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