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겨냥해 “철저한 시오니스트” 성토
네타냐후엔 “이스라엘 위해 빨리 물러나라”
미국 빌 클린턴 행정부 시절 두 차례에 걸쳐 주(駐)이스라엘 미국 대사를 지낸 마틴 인디크 브루킹스연구소 부소장이 73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인디크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 당시 미국·이스라엘 관계에 깊이 관여하며 당시 부통령이던 조 바이든 현 대통령과도 긴밀히 협력했으나 말년에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對)이스라엘 정책을 강하게 성토했다.
2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CNN 방송 등에 따르면 인디크는 지난 25일 코네티컷주(州) 페어필드의 자택에서 숨졌다. 사인은 식도암과 그에 따른 합병증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디크는 1951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다. 그는 부모는 폴란드계 유대인 이민자였다. 이후 부모가 호주로 이주하면서 인디크는 유년과 청년 시절을 호주에서 보냈다. 시드니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한 그는 졸업 이듬해인 1973년 이스라엘로 유학했다. 대학원에 다니며 공부를 더 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나 유대인인 자신의 뿌리를 찾고 싶다는 마음도 있었다.
인디크가 이스라엘에서 공부하던 1973년 10월 ‘욤 키푸르 전쟁’이라고 불리는 제4차 중동전쟁이 터졌다. 유대교 주요 명절 중 하나인 ‘속죄의 날’(욤 키푸르)을 맞아 사실상 무방비 상태였던 이스라엘을 이집트와 시리아 군대가 기습하며 19일간 전쟁이 이어졌다. 이스라엘은 미국의 지원 아래 가까스로 침략을 격퇴하기는 했으나 1만명 가까운 사상자 등 엄청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이 전쟁이 인디크의 인생에 전환점이 되었다. 그는 훗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욤 키푸르 전쟁을 계기로 이스라엘과 주변 아랍 국가들 간에 평화를 구축하는 일에 나를 바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일단 호주로 돌아가 호주국립대에서 국제정치학으로 박사 학위를 딴 인디크는 1982년 미국으로 이민했다. ‘이스라엘이 안보를 유지하려면 평화만이 유일한 대안이고, 그러한 노력에 미국을 동참시키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소신에 따른 행동이었다. 그는 미국 국적을 취득한 뒤 유력 싱크탱크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등에서 미국·이스라엘 관계 전문가로 일했다.
1993년 클린턴 행정부가 출범하며 인디크에게 외교 분야 고위 공직자로 활약할 기회가 주어졌다. 그는 국무부 중동 담당 차관보(1997∼1999)와 두 차례 주이스라엘 대사(1995∼1997, 2000∼2001)를 지냈다. 이 기간 인디크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오슬로 협정 체결에 깊이 관여했다. 이츠하크 라빈 이스라엘 총리와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의장이 맺은 오슬로 협정은 양측이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고 특히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의 자치권을 보장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한다.
공화당 행정부 시절 관직에서 물러나 있던 인디크는 오바마 행정부가 출범한 뒤 복귀했다. 2013년 국무부 중동 평화 특사로 임명돼 이듬해까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평화 협상을 중재했다. 당시 부통령이던 바이든 대통령은 인디크의 사망 소식을 접하고 발표한 성명에서 “고인이 남긴 유산은 우리 행정부 관리들의 마음 속에 살아 있다”며 “평화를 위한 고인의 헌신은 과거 그 어느 때보다 바로 지금 더 중요하다”고 애도했다.
하지만 인디크가 바이든 대통령을 지지한 것은 아니었다. 2023년 10월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으로 가자 전쟁이 시작된 뒤 인디크는 바이든 행정부의 일방적인 이스라엘 지원 정책에 강한 규탄의 목소리를 내며 “바이든은 철두철미한 시오니스트(유대 민족주의자)”라고 비난했다. 미국이 이스라엘을 위한 군사원조를 어서 끊어야 전쟁이 끝난다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과 절친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에 대해선 “이스라엘에 더 큰 피해를 입히기 전에 물러나라”며 사퇴를 촉구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