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농업 외 창업도 지원 검토
청년들이 농촌에서 새 희망을 찾고 있다. 이들은 전통적인 농업방식에서 벗어나 스마트팜, 복합농업문화공간, 지역연계 사업 등 다양한 미래 먹을거리를 일궈냈다.
지난해 귀농인구 10명 중 1명꼴로 30대 이하 청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화) 이후 귀농인구가 줄어든 상황에서 청년층 비중은 사상 처음으로 10%를 넘겼다. 농촌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의미다.
정부도 청년들이 농촌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청년농에는 생활자금을 지원하고, 투자 여력이 부족한 이들을 위한 농지·자금 등 창업 기반을 마련해주고 있다. 농업에 직접 종사하지 않더라도 농촌에 거주하면서 창업 등에 나선 청년까지 청년농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2027년까지 청년농업인 3만명 육성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농업에 관심 있는 청년의 진입 기회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신규 청년농 등에게 생활자금(월 최대 110만원)을 지원하는 ‘영농정착지원 사업’ 선정 규모를 지난해 4000명에서 올해 5000명으로 확대 운영 중이다. 땅이 없어 귀농이나 창농을 하지 못하는 청년을 지원하기 위해 맞춤형 농지 물량을 지난해 2759㏊에서 올해 4210㏊로 45% 늘렸다.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청년이 살고 싶은 농촌공간 조성을 위해 청년농촌보금자리 조성 규모를 2022년 5곳에서 올해 17곳으로 확대했다.
정부의 지원에다 청년들의 관심도 높아지면서 귀농을 택하는 청년도 늘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귀농 가구(1만307) 중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10.8%로 전년보다 1.4%포인트 상승했다. 귀촌 가구주의 연령별 구성비에서 30대만 유일하게 커졌다.
농촌으로 내려간 청년들은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충북 괴산 ‘뭐하농’은 농촌을 매력적인 문화공간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농업에 외식과 관광, 교육을 접목한 ‘팜 콘텐츠’를 개발하는 청년농 그룹이다. 2020년 뜻을 같이한 청년농부 6명이 농사와 창업을 병행하는 구조로 운영하다 지금은 직접 재배한 농산물을 활용한 음료·디저트 카페, 로컬 편집숍, 책방, 창업 공유공간 등을 운영하는 복합문화 플랫폼으로 규모가 커졌다.
지역 특산물을 활용해 창업한 청년도 있다. 경남 하동에서 ‘산골이유식’을 만드는 오천호씨는 ‘지리산 청정농산물’이라는 브랜딩을 앞세웠다. 아이들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제철 이유식 사업으로 10년 만에 매출액 140억원을 기록했다. 고용인원 53명으로, 지역 선도기업으로 성장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농업에 종사하지 않지만, 농촌에서 거주하며 사업 등의 활동을 하는 청년에도 지원책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