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장관 “한강 노벨상 수상 계기로 더 많은 작가 발굴해 해외 진출시킬 것”
한강(54)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정부가 전국 단위의 문학 축제를 열고, 더 많은 작가가 해외에서 주목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6일 서울 강남구 한국문학번역원에서 한국 문학 해외 진출 관계기관 회의를 열고 ‘2025 대한민국 문학축제’ 개최 방안을 논의했다.
서울국제작가축제, 문학주간, 한국문학관 기획 전시 등 기존에 진행되고 있는 문학 행사를 연계하고, 지역 문학관과 도서관 등도 참여하도록 해 전국 단위의 행사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국내 축제에만 그치지 않고 해외 작가와 출판사를 초청해 국내 문학 저작권의 해외 판매 확대로도 이어지도록 할 예정이다.
문학 작품을 원작으로 한 영화나 뮤지컬을 상영하고, 낭독극과 음악 공연, 전시, 마로니에 공원에 서점 팝업 스토어 설치 등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인다.
이정근 한국문학번역원 본부장은 “이번 노벨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서울국제작가축제에도 노벨상 수상 작가를 초빙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며 ”해외 출판인 초청 사업도 열어 (국내 작품) 저작권 판매 확대로 이어지도록 하겠다. 제2, 제3의 한강이 나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문학 비평과 담론 형성도 지원한다. 높아진 한국 문학 작품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해외 문학 전문가들의 한국문학 연구·비평 확대를 도모한다. 이를 위해 해마다 한국 문학 대표작가군을 추리고 이들의 관계망 사업을 뒷받침하며, 북미아시아학회와 유럽한국학협회 등에 한국문학을 주제로 한 발제를 의뢰할 예정이다. 한국 문학을 해외에 집중 조명하는 묶음 사업도 논의됐다.
출판문화산업진흥원이 해외에서 신청받아 수요 도서를 추천한 뒤 재외한국문화원에 보급하고, 다양한 축제를 통해 작가를 집중 조명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화상으로 회의에 참석한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계기로 우리가 더 많은 작가를 발굴, 번역하고 해외에 진출시킬 것”이라며 “(이들 작가가) 해외에서 박수받고, 좋은 상도 받을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며 말했다. 아울러 “독서 진흥과 지역 작은서점 살리기, 도서관 활성화 등에 훨씬 더 많은 정책적 접근을 해야겠다”고 덧붙였다.
번역과 국제교류도 중요하지만, 먼저 국내 문학 시장과 비평·담론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광호 한국출판인회의 회장 겸 문학과지성사 대표는 “다양한 책과 개성 있는 작가가 나와야 ‘제2의 한강’이 나올 수 있다”며 “물론 해외 교류나 번역도 중요하겠지만 한국어 문학 시장이 활성화돼야 한다. 가만히 두면 시장이 확대되지 않기 때문에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문학의 가장 큰 약점은 한국어 문학시장이 너무 작다는 점이다. 2000부를 팔기도 어려운데 작가에게 돌아가는 인세는 굉장히 적고 다음 책을 낼 기회가 적다”며 “가만히 내버려 두면 시장이 확대되지 않기 때문에 문학나눔 예산 증액, 출판계 세액공제 입법, 공공대출 보상권 등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오형엽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비평 및 담론 활성화도 해외에 한국문학을 소개하는 데 맞춰져 있다. 그런데 시인·작가·비평가들이 제대로 살아 남아 활동하려면 국내에서 먼저 저변이 확대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번역 전문인력 양성에도 장애물이 적지 않다. 정은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겸 번역가(영어)는 “제자들을 떠올려 보면 (한강 소설 ‘채식주의자’를 번역한) 데보라 스미스를 능가할 정도의 학생이 많지만 시장의 문이 너무 좁다는 점에 마음이 아프다”고 했다. 정 교수는 “번역 고료는 20년 전과 비슷할 정도로 번역 조건은 더욱 나빠졌다”며 “번역가로는 먹고 살 수가 없는데 제자들에게 번역가가 되라고 말을 못 한다”고 실정을 전했다.
한국문학번역원 번역아카데미를 번역대학원대학으로 격상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최애영 한국문학번역원 교수 겸 번역가(프랑스어)는 “교육 과정이 효율적이고 전문화돼 우수한 번역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고 자부하지만 학생들이 수료증을 받고 나면 기회를 얻지 못해 절망한다”며 “번역 시장에 한 번만 내보내면 앞길을 헤쳐나갈 수 있는데 그 길을 찾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아카데미가 아닌 정식 교육기관이 되면 부설연구소도 신설할 수 있고 해외진출을 겨냥한 새로운 담론들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