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병사들도 계엄군으로 투입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사병 투입은 없다”며 대국민 담화에서 발표한 내용과 달라 논란이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12일 수도방위사령부가 국회에 보고한 내용에 따르면, 수방사는 군사경찰단 75명을 계엄 상황에 투입했는데 이 가운데 42명이 병사였다. 8명은 장교, 25명은 부사관이었다. 수방사 1경비단 투입 인원 136명 중에서는 병사가 19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방사에서만 최소 61명의 병사가 동원된 것이다.
이는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네 번째 담화에서 밝힌 내용과는 배치된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자유민주 헌정질서를 회복하고 수호하기 위해 국민들께 망국적 상황을 호소하는 불가피한 비상조치를 했지만, 사상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사고 방지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였고, 사병이 아닌 부사관 이상 정예 병력만 이동시키도록 한 것입니다”고 밝혔다.
앞서 육군 수방사와 특수전사령부는 지난 3일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국회로 병력을 파견했다. 윤 대통령은 군에 여야 정치인을 체포·구금하라고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한편 검찰과 경찰은 이날 수방사를 압수수색 했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당시 ‘비화폰’으로 군 관계자들에게 전화해 “의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는 의혹이 나오자 비화폰 통화 기록이 저장된 서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