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처 “저지”… 유혈사태 발생 우려도
1차 때 일반사병 동원 체포 저지 확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경찰 국가수사본부(국수본)가 갈등 끝에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을 함께 재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성공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영장 재집행 시 대통령 관저 출입을 막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대통령경호처와 집행 방해 시 경호처 직원들을 현행범으로 체포할 수 있다는 수사기관 사이에 강대강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6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 따르면 공수처와 경찰은 윤 대통령의 체포영장 2차 집행 과정에서 경호처가 저지할 경우 이들을 현행범으로 체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1/06/20250106519388.jpg)
공수처와 경찰은 1차 집행 시도 당일인 3일 윤 대통령 체포를 막으려는 경호처 직원들과 크고 작은 몸싸움을 벌였다. 당시 경찰은 박종준 경호처장 등을 공무집행방해 혐의 현행범으로 체포하려 했으나, 공수처 측에서 난색을 보여 실제 체포가 이뤄지진 않았다. 경호처와의 5시간30여분 대치한 끝에 공수처는 영장 집행을 중지했다.
영장 재집행 과정에서는 양측의 충돌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 체포에 실패하면서 체면을 구긴 공수처와 경찰은 보다 공세적으로 집행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경찰은 윤 대통령의 소재를 파악하는 등 적극적인 체포 의지를 다지고 있다.
2차 집행에서는 경찰 특공대가 관저에 진입할 가능성도 있다. 경찰은 1차 집행 당시 특별수사단 인원 120명 외에 경찰 특공대와 형사기동대 투입을 검토한 바 있다. 실제 투입은 이뤄지지 않았다.
국수본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특공대 투입 여부를 묻는 취재진 질의에 “검토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드린다”고만 말했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1/06/20250106519400.jpg)
반면 경호처는 수사기관에 협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경호처는 1차 집행 당시 버스와 승용차 등으로 ‘차벽’을 만들고 3차 저지선까지 구축한 바 있다. 주말 사이 경호처는 차량을 여러 대 동원해 관저 입구를 봉쇄했고, 관저 주변 풀숲에는 철조망을 설치한 것으로 파악됐다. 1차 집행 때에 경호처 일부 인원은 화기도 소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물리적 충돌이 거세질 경우 유혈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경찰은 경호처의 해명과 달리 경호처가 영장 집행을 저지하면서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소속 55경비단 소속으로 추정되는 병사들을 동원한 사실도 확인했다. 경호처는 그동안 일반 사병들을 후방 근무로 전환했다고 해명해 왔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1/06/20250106519397.jpg)
경찰은 박 처장과 이광우 경호본부장, 이진하 경비안전본부장 등 경호처 관계자 3명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등으로 입건한 상황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각각 7~8일 출석을 요청했지만, 현재까지 이들에게서 답변을 받지는 못했다.
한편 1차 체포 당일 윤 대통령 관저에 경찰을 투입해달라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겸 경제부총리의 요청에 응하지 않은 데 대해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항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여러 판단을 받아봐야 한다는 취지”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