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SPC 설립 2027년까지 투자
전력문제 등 고려 비수도권 설치
정부가 최대 2조원 규모의 ‘국가 인공지능(AI)컴퓨팅 센터’를 구축해 올해 안에 서비스를 시작한다. AI컴퓨팅 센터는 AI 연구·개발과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AI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올해 11월 서비스 조기 개시 등 구체적인 사업추진 계획을 담은 국가 AI 컴퓨팅센터 구축 계획안을 보고했다.
정부는 그간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핵심 인프라인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추진해왔다. 국내에는 AI 모델·서비스 개발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컴퓨팅 자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센터는 수도권 전력난, 지역 균형발전 등을 고려해 비수도권에 들어선다. 공공과 민간이 각각 51%, 49% 비율로 총 4000억원을 출자한 민관합동 특수목적법인(SPC)이 구축을 맡는다. 산업은행, 기업은행이 SPC 지분의 최대 30%를 출자한다. 2027년까지 투자금 2조∼2조5000억원을 정책 금융을 통해 저리로 빌려준다. 올해 저리 대출 지원 규모는 6250억원이다.
센터는 올해 서비스를 조기 개시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엔비디아 등 외국산 첨단 GPU를 우선 들여놓으며, 이후 점진적으로 국산 AI 반도체 비율을 늘려 2030년까지 50%를 채우기로 했다.
센터의 GPU 규모는 1엑사플롭스(EF·1초에 100경번의 부동소수점 연산 처리 능력) 이상을 목표로 한다. SPC에 참여하는 민간 기업의 추가 투자를 합치면 2엑사플롭스 규모가 될 것으로 정부는 예상한다.
정부는 센터에 대해 전력계통 영향평가 신속 처리를 지원하며 민간의 AI 연구개발과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AI 분야를 조세특례제한법상 국가전략 기술로 지정한다. 국내 대학과 연구소, 중소기업·스타트업 등은 AI 모델·서비스를 개발할 때 센터를 쓸 수 있다. 정부도 AI 전환(AX) 사업 등에 센터를 우선 활용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브로드밴드가 정보기술(IT) 강국 도약의 핵심 인프라였듯, AI컴퓨팅 인프라는 AI 대전환 시대의 혁신과 성장을 뒷받침하는 국가 핵심 기반”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