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뜰날’ 등으로 큰 인기를 누린 트로트 가수 송대관이 7일 오전 별세했다. 향년 79세.
고인의 유족 등에 따르면 송대관은 전날 컨디션 난조를 호소해 서울대병원 응급실을 찾았고, 치료 도중 이날 오전 심장마비로 갑작스레 세상을 떠났다. 그는 얼마 전에도 칸디다증으로 입원 치료를 받았다가 상태가 호전돼 퇴원했다고 유족은 전했다.
1946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난 송대관은 1967년 ‘인정 많은 아저씨’로 데뷔했다. 데뷔 후에도 오랜 무명 시절을 보냈다. 10년간의 무명생활 동안 그의 아내가 만삭의 몸으로 생계를 꾸리기도 했다. 그를 스타 반열에 올린 것은 1975년 발표한 ‘해뜰날’이었다. “꿈을 안고 왔단다 내가 왔단다 / 슬픔도 괴로움도 모두 모두 비켜라 / 안 되는 일 없단다 노력하면은 / 쨍하고 해뜰날 돌아온단다∼”라는 희망적인 가사와 흥겨운 멜로디의 ‘해뜰날’은 시대적 배경과 맞물려 당시 사람들에게 하나의 ‘응원가’로 자리잡았다.
박성서 대중음악평론가는 “‘해뜰날’은 마치 1970년대 ‘한강의 기적’을 일궈낸 경제 개발 시대에 딱 맞는 주제가처럼 울려 퍼졌다”며 “이 노래 때문에 ‘쨍’이라는 단어가 크게 유행했다”고 말했다.
‘해뜰날’로 단박에 MBC 가수왕에 오르는 등 최고 인기를 구가했지만 당시 가수들의 주요 수입원이던 극장쇼가 사양길로 접어들면서 그는 돌연 미국으로 이민을 떠나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생계를 위해 샌드위치 가게를 운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1989년 10여년 만에 미국 생활을 청산하고 귀국한 그는 ‘정때문에’를 발표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그리고는 ‘네박자’, ‘유행가’, ‘차표 한장’ 등 히트곡을 줄줄이 내놓았다. MBC ‘10대 최고 가수왕’, KBS ‘가요대상’ 성인 부문 최고가수상 등을 수상하며 태진아, 현철, 설운도와 함께 트로트 ‘사대천왕’으로 불리며 트로트 전선시대를 이끌었다. 2001년에는 옥관문화훈장도 수훈했다.
특유의 구수한 사투리, 친근한 이미지를 내세워 연기에도 도전했다. 드라마 ‘공주가 돌아왔다’(2009) ‘신기생뎐’(2011) ‘웰컴 투 힐링타운’(2012) 등에 출연했다.
그는 남진에 이어 2008∼2010년 제2대 대한가수협회장도 맡아 가수들의 권익 보호에도 앞장섰다. 회장 재직 당시인 2009년 일본 노래방에서 한국 가요가 무단으로 사용된 점을 지적하며 현지 법원에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내기도 했다.
몇년 전 투병으로 입원과 퇴원을 반복한 송대관은 몸이 쇠약해진 가운데도 최근까지 ‘가요무대’ 등 음악프로그램에 출연하며 마이크를 손에 놓지 않았다.
빈소는 서울대학병원 장례식장. 발인은 9일 오전 11시, 장지는 서울추모공원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