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진짜 일 제대로 하네”…업계 유일 전수검사, ‘전화위복’ 만든 이곳은? [일상톡톡 플러스]

입력 : 2025-02-22 15:00:00 수정 : 2025-02-21 16:59:01

인쇄 메일 url 공유 - +

입점 브랜드 혼용률 전수 검사 관련 투명한 조치 공개…선제적 대응으로 ‘비판→칭찬’ 반전

다른 유통업계 무신사 따라서 후속 조치 발표…조사 착수한 당국도 무신사 자료 제출 도움

최근 유통업계를 뜨겁게 달군 ‘패딩 혼용률 허위 기재’ 사건이 두 달 넘게 이어지면서, 이슈의 중심에 섰던 패션 플랫폼 무신사를 둘러싼 대외 평판이 변화하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초기에는 입점 브랜드 관리 부실에 대한 비판이 제기됐으나, 문제 해결 과정에서 무신사가 발 빠르고 투명한 조치를 취하면서 소비자와 업계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게티이미지

22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무신사는 작년 12월 입점 브랜드의 혼용률 이슈가 불거진 이후 뉴스룸 ‘안전거래’ 페이지를 통해 총 15건의 게시물을 게재했다. 올해 1월부터 입점 브랜드의 다운·캐시미어 관련 상품 7968개에 대한 전수 검사를 진행하면서 대외 소통을 확대해왔다.

 

무신사는 매주 1건 이상의 새로운 공지를 발표하며 △안전거래 정책 소개 △허위·과장 광고 제재 현황 △다운·캐시미어 전수 조사 경과 등의 내용을 공유했다. 입점 브랜드 중 허위·과장 광고를 한 상품에 대한 제재 내역 게시물만 9건에 달하며 강경한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작년 말 패딩 점퍼를 중심으로 혼용률 이슈가 터졌을 당시 소비자와 업계는 이를 일부 브랜드의 일탈 정도로 치부하며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패션 대기업 이랜드월드의 ‘후아유’ 브랜드 패딩 상품에서도 충전재 혼용률 문제점이 발견되면서 이슈가 본격적으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당시 후아유 패딩 상품은 국내 주요 온라인 쇼핑몰, 패션 플랫폼에서 판매 중이었다.

 

전문가들은 고객 피해 예방과 패션 업계의 신뢰 제고를 위해 유통 플랫폼들이 적극적인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수의 유통업체들은 수천개에 달하는 입점 브랜드 상품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대응을 미루거나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반면 무신사는 1월초 전체 입점 브랜드를 대상으로 겨울철 인기 소재인 다운·캐시미어 상품의 전수 검사를 발표했다. 이후 80개 이상의 브랜드에서 문제 상품을 적발했으며, 브랜드 측에 공신력 있는 기관의 시험성적서 제출을 의무화했다. 실제 광고된 혼용률과 성적서 수치가 다를 경우 예외 없이 판매 정지 조치를 취했다. 무신사는 자신들이 투자한 브랜드가 고의적으로 시험성적서를 허위 제출한 경우 업무방해죄로 고소하는 등 강경 대응을 펼쳤다.

 

업계에서는 무신사가 문제 브랜드와 상품 정보를 공개하면, 다른 유통사들이 이를 참고해 자사 플랫폼에서 뒤늦게 판매 중단을 결정하는 ‘사후 조치’에 급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무신사가 문제 상품을 계속 적발하면서 다른 플랫폼들은 자신들의 관리 부실이 드러날까 부담을 느꼈을 것”이라며 “무신사가 나서지 않았다면 문제의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무신사의 행보는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한 패션 커뮤니티에서는 “무신사 관련 잡음도 적지 않았지만, 전수 검사를 시늉만 하는 줄 알았는데 실제로 강력한 제재를 가하는 모습이 쾌감을 준다”는 반응이 나왔다. 다른 누리꾼들도 “결국 살아남는 건 무신사”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거나 “다른 플랫폼이 모르쇠로 일관하는 것과 비교하면 무신사만 제대로 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무신사의 조치를 뒤따르는 기업들도 증가하고 있다. 후속 대응이 늦어질 경우 플랫폼의 대외 평판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무신사 전수검사. SNS 캡처

롯데쇼핑은 이달부터 백화점, 아울렛, 홈쇼핑 등 주요 유통 채널에 입점된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소재 혼용률 전수 조사에 착수했다. 공인된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지 못할 경우 판매를 중단하겠다는 방침이다.

 

패션 플랫폼 지그재그는 지난 17일 ‘허위 정보 신고센터’를 오픈하며, 표시광고법 위반 내역을 신고받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W컨셉 역시 입점 브랜드를 대상으로 무작위 검사와 시험성적서 제출 요구를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오픈마켓 기반 이커머스 기업들은 여전히 적극적인 대응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무신사처럼 전수 검사를 시행할 경우 비용 부담과 입점 브랜드 상품 판매 중단으로 인한 매출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 중국 ‘C-커머스’ 업체들의 경쟁이 격화되는 점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업계의 혼용률 허위 광고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법·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정부 또한 사태의 추이를 주시하며 대응을 준비 중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업계 혼용률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업계를 대상으로 자료 제출을 요청했다.

 

공정위는 무신사로부터 입점 브랜드 제재 현황 등의 자료를 전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정부가 무신사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초기에는 입점 브랜드들의 혼용률 문제로 가장 많은 비판을 받았던 무신사가 선제적인 조치로 오히려 긍정적인 평가를 받게 된 것은 ‘전화위복’의 사례”라며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커머스 플랫폼들의 입점 브랜드, 판매 상품 관리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소극적인 대처를 이어가는 오픈마켓이나 쇼핑몰들은 소비자 신뢰를 잃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김민주 '신비한 매력'
  • 진기주 '해맑은 미소'
  • 노정의 '시크한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