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정부 통일부 제외 57명 불과 남북관계 경색 국면이 장기화하면서 남북대화 경험이 있는 당국자들의 수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민주당 김성곤 의원실에 따르면 2003년 이후 공무원이 방북해서 북측과 접촉한 건수는 총 6193건(통일부와 지자체 제외)으로, 이 과정에 참여한 인물 가운데 박근혜 정부 들어 남아 있는 3급 이상 고위공무원 인사는 57명(100건)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분야별로 사회문화 및 인도적 지원 분야가 57건, 경제교류가 24건, 정치·군사회담 목적이 18건, 관광이 1건이었다. 이명박정부가 출범한 2008년 이후 북한을 방문한 고위공무원은 단 한 명도 없었다.
대북정책 주무부처인 통일부에서도 ‘대북 협상통’들이 사라지고 있다.
남북회담 전략을 수립하는 남북회담본부만 놓고 봐도 회담본부장을 포함한 과장급 이상 간부 총 11명 가운데 남북회담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6명뿐이다. 직접적 이유는 남북대화가 장기간 없었기 때문이다. 김대중·노무현정부 시절 남북당국 간 대화 건수를 보면 각각 78건과 175건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당국 간 접촉이 이뤄졌다. 반면 금강산관광객 사망과 천안함 폭침 등 대형 악재가 쏟아진 이명박정부 시절엔 남북 당국 간 대화는 10건에 불과했다. 정권 교체기에 유능한 북한통들이 정치적 이유로 퇴출되는 관행도 북한통 급감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남북회담 경험이 많은 한 전직 고위 관료는 “사람은 물론 체제가 잘 변하지 않는 북한의 특성을 고려하면 북한을 직접 상대해본 경험이 있는 이들의 노하우를 전달할 통로가 필요하다”며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공식·비공식 남북회담 경험이 있는 이들의 축적된 노하우를 공유하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남북대화 재개시에 대비해 남북대화 경험이 풍부한 이들의 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김성곤 의원은 “대화 경험이 있는 정부 당국자들을 체계적으로 길러내는 것도 통일사업”이라며 “정부 간 대화가 교착상태라면 민간 교류를 열어주는 것이 효과적 접근법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남북회담 경험을 쌓은 간부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퇴직하고 있고, 그 사이 회담이 열리지 않으면서 경험이 없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측면은 있다”며 “분기별로 회담본부에서 회담경험이 풍부한 전직 관료들이 참여하는 비상임 자문회의를 열고 있다”고 말했다.
김민서 기자 spice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