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조사 때 자료 공유 부실, 실험실 유출 조기 배제 등 문제”
中, 개도국 48개국 동원해 “정치화 반대, 미국 등 글로벌 조사해야“

중국에 우호적인 제스처로 비판을 받아오던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이 중국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을 밝히기 위한 다음 단계 조사에 더 협조할 것을 촉구했다. 중국은 수십개국을 동원해 코로나 기원 조사의 정치화에 반대하는 공동 서한으로 WHO에 보내는 등 대응에 나섰다.
16일 AFP 통신 등에 따르면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화상 언론 브리핑에서 “이 기구가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2단계 조사를 진전시키기 위한 체계를 개발했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또 지난 2월에 진행된 중국 현장 전문가 조사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했다. 그는 “한 가지는 원자료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는 1단계 결론에서 이 점이 해결돼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다른 문제는) 실험실 (유출) 이론처럼 (여러) 가능성 가운데 하나를 축소하는 등의 너무 이른 결론(push)이 있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 동안 미국 등 서양에서 중국의 불성실한 코로나19 조사 협조를 지적해왔는데, 이를 그대로 수용해 밝힌 것이다.
그는 이어 “실험실 사고는 일어난다. 그것은 흔한 일이고 나는 그것이 발생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며 “우리는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이 시작할 무렵, 실험실 상황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과 이날 만난 옌스 슈판 독일 보건장관 역시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하다며 중국이 코로나19 기원 조사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마이클 라이언 WHO 긴급대응팀장은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2단계 조사에 대해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이 곧 194개 회원국에 브리핑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는 “우리는 그 과정에 대해 중국 측과 협력하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사무총장이 내일(16일) 회원국들에 조치 사항의 개요를 설명할 것”이라고 알렸다.
WHO는 지난 2월 중국에서 첫 코로나19 감염자가 보고된 우한을 현장 조사했다. 중국 정부가 조사단의 자료 접근을 제한해 투명하고 충분하게 조사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중국은 개발도상국 등을 동원해 코로나19 기원 조사를 정치화하지 말 것을 요구하는 등 WHO의 기류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대변인 명의로 발표한 질의응답식 자료에서 “개발도상국 48개국이 WHO에 바이러스의 출처에 대한 수사의 정치화에 반대하는 공동 서한을 보냈다”며 “이들은 WHO가 코로나 기원의 글로벌 조사를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들 국가는 지난 3월 발표한 WHO와 중국의 공동보고서가 글로벌 바이러스 추적의 기반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며 “대다수의 국가들이 공정성, 객관성, 정의를 수호한다는 것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고 평했다.

특히 미국이 소수의 국가들에게 정치적 조작에 관여하고 과학에 반대하며 사실을 왜곡하도록 강요한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고 비교했다.
또 자료 제공 비협조 등의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외교부는 “중국은 지난해부터 WHO 전문가를 두 차례 초청해 중국에서 추적성 조사를 그들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현장 방문을 수행했으며, 동료들과 소통했다”며 “바이러스 추적에 대한 중국의 개방적이고 투명한 태도는 국제 전문가들에 의해 충분히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이끄는 몇몇 국가들은 이 전염병의 근원지에 대한 낙인과 꼬리표를 붙이고 정치화하고 있다”며 “노골적으로 과학자들의 협력적인 성과를 무시하고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과학과 진실을 버려 국제사회에서 광범위한 불만과 반발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