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드론의 시대’ 5년간 120억 예산 절감… 경기도, ‘3차 운영 종합계획’ 수립

입력 : 2025-03-27 15:19:40 수정 : 2025-03-27 15:19:3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광각렌즈를 쓴 사진기도 건물 전경을 다 찍을 수 없는데 드론을 띄우면 도심 공장 옥상과 골목길 등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까지 선명하게 모습을 담아 옵니다.” (경기도 토지정보과 직원)

 

드론이 경기도 광교 청사 상공에서 공간정보를 확보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드론 자격증 보유자만 60만명을 훌쩍 넘긴 이른바 ‘드론의 시대’. 경기도가 첨단산업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드론과 전용 플랫폼을 활용해 ‘적극행정’을 이어가고 있다. 

 

도는 양질의 공간정보 제공을 위한 ‘제3차 드론 운영 종합계획’(2025~2029년)을 수립해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3차원 정책지도 구축 등의 내용을 담은 이번 계획은 도민 생활과 밀접한 주요 시설물 안전관리, 환경오염 감시 및 해양 쓰레기 단속 등 생활·안전 분야에서 드론을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5년 단위로 마련된다. 산불·화재 등 재난재해 현장에도 실시간 피해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드론이 투입된다.

 

앞서 도는 5년간 3034건의 드론 행정지원을 통해 약 120억원의 예산을 절감했다고 밝혔다. 드론을 활용한 불법행위 단속, 지적 재조사 사업, 건축자산 공간정보 기록, 해빙기·우기 건설현장 안전점검, 재난재해 현장 안전성 향상 등의 분야에서 업무를 지원했다. 

 

이처럼 드론이 담아온 공간정보는 전용 플랫폼을 통해 차곡차곡 데이터화된다.

 

이번 종합계획은 △정밀 공간정보 데이터 확보 △드론 운영 통합 플랫폼 구축 △드론 운영역량 강화 및 미래인력 양성 △드론 활용 업무 추진의 4개 전략으로 나뉜다. 특히 도내 택지개발사업지구, 도시재생사업지구 등에 대한 단계별 공간정보를 제공하고 시각화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3차원 정책지도 구축 내용을 담았다. 교통 영향평가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도 제작해 행정업무에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와 시·군에서 드론 운영자를 양성하기 위해 부서별 업무특성에 맞는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손임성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행정업무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하고 드론을 활용한 효율적 공공서비스 제공을 확대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드론 기술 활용을 통해 운영 체계를 더욱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예은 '상큼 발랄 볼하트'
  • 지예은 '상큼 발랄 볼하트'
  • 고윤정 '깜찍한 볼하트'
  • 오마이걸 효정 '사랑스러운 하트 소녀'
  • 신현지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