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세력 척결 8%·검찰 개혁은 6%
40·50대 ‘경제회복’ 응답 비중 높아
‘6·3 조기 대선’ 뒤 세워지는 다음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에 대해 국민 다수가 ‘경제’를 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과 그에 따른 탄핵안 인용으로 치러지는 조기 대선이지만 ‘계엄’과 ‘탄핵’을 우선과제로 보는 여론은 소수에 그쳤다. 내수침체 장기화, 수출여건 악화 등 대내외 경제환경이 악화하면서 체감경기가 뚝 떨어진 데 대한 해법 마련 요구가 이번 대선의 ‘시대정신’으로 부상하는 분위기라는 분석이다.

15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8일부터 10일까지 전국 성인 1005명을 대상으로 무선전화면접방식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통령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 문항에서 응답자의 48%는 ‘경제회복·활성화’를 꼽았다. ‘경제’ 이슈라고 할 수 있는 민생문제·생활안정(9%)까지 합치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차기 정부의 첫손 과제로 ‘민생경제 문제’ 해결을 주문한 셈이다. 계엄세력 척결(8%)이나 검찰개혁(6%) 등 진보진영에서 주로 말하는 의제는 한 자릿수 지지에 그쳤다.
특히 ‘중도’와 ‘진보’에서 경제 이슈를 중히 여기는 모습이 관찰됐다. 자신의 정치성향이 ‘중도’라고 응답한 이 중 55%가, ‘진보’라고 응답한 이 중 62%가 차기 대통령 우선 해결과제로 경제회복을 꼽았다. 연령대별로는 한국 사회의 ‘중추’라고 할 수 있는 40대(54%)와 50대(63%)에서 ‘경제회복’ 응답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한국갤럽은 직전 대선인 2022년 1월 초에도 동일한 설문을 진행한 바 있다. 당시에는 경제 활성화와 부동산 문제 해결이 각각 32%로 공동 1위였다.
민심이 ‘계엄’과 ‘탄핵’보다 ‘경제’를 더 중대한 이슈로 인식하고 있는 것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경제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지난 2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1.6%로 0.4%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특히 내수경제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건설투자의 경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1.2%의 역성장이 예상된다. KDI는 보고서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내수 회복이 지연되는 가운데 그동안 높았던 수출 증가세가 조정되면서 약화되는 모습”이라면서 “대내외 여건을 고려할 때 우리 경제는 내수와 수출 모두 낮은 증가세에 그치면서 성장세가 둔화될 전망”이라고 우려했다.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통화에서 “평상시에도 우리 국민은 경제를 중요하게 고려하는데, 지금은 경제여건 악화에다 미국의 통상압력 증가, 정국 불안정 등으로 빨리 ‘정상화’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가장 먼저 회복해야 한다는 게 ‘경제’”라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러한 민심의 변화를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민주당 내에서는 경제 관련 실용적 공약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적잖게 분출되고 있고, 국민의힘에서도 경선 이후 내놓을 대선공약에 ‘경제’ 관련 비중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