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에너지 대란’ 예방 대책 세우라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08-05-23 21:31:23 수정 : 2008-05-23 21:31:23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제 유가가 계속 치솟고 있다.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가 경계심리로 주춤했지만, 국내에 석유를 수급하는 두바이유는 어제 배럴당 또 5달러나 올라 128달러를 기록했다. 조만간 배럴당 150달러를 넘어 200달러 시대가 올 것이라는 암담한 전망도 나온다. 예상을 뛰어넘는 국제 유가의 폭등세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가늠하기도 힘들 만큼 상황이 심각해 보인다. 1년 전에 비해 두 배 이상 뛰어 ‘3차 오일쇼크’가 닥칠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 않다.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는 세계 5위의 에너지 수입국(지난해 기준 945억달러)이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유가가 10% 오르면 물가가 폭등하고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떨어지는 등 우리 경제구조는 유가 폭등에 취약하기 이를 데 없다. 눈앞에 닥친 에너지 대란의 심각성을 깨닫고 정부와 기업, 가계 등 경제 주체들이 대책을 서둘러야 할 때다.

하지만 정부는 대책에 팔짱을 끼고 있는 듯하다. 정부의 인식이 안이한 만큼 국민도 에너지 위기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는 것 아닌가. 휘발유 1ℓ 2000원 시대가 왔음에도 길거리에는 나홀로 차량이 판을 치고 있으며, 휘황찬란한 네온사인을 켠 유흥업소의 새벽영업도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서민의 기름’ 경유값이 휘발유값을 앞지르는 역전현상마저 벌어졌다. 그런데 대다수 국민은 유가가 곧 떨어지지 않겠는가하고 기대한다. 그 막연한 기대와 타성 속에 더 큰 위기가 닥칠 수 있다.

정부는 자원외교를 더욱 강화하고 국내적으로도 특단의 대책을 서둘러 단계별로 대처해야 한다. 석유를 100% 수입하는 나라에서 에너지 파동의 위험을 방치했다간 국가적 재난을 겪을 수도 있다. 단기적으로는 범국민 에너지 절약정책을 펴는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산업구조를 에너지 저소비형으로 개편하고 대체에너지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는 등 과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국민 스스로도 정부의 조치에 앞서서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하는 데 힘써야 하겠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