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KBS는 감사원의 특별감사를 눈앞에 두고 있다. 감사원이 KBS의 부실경영과 인사권 남용 등을 이유로 시민단체들이 요구한 국민감사 청구를 수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 사장은 시민단체의 주장은 대부분 허위라고 반박하며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행정심판을 청구해 놓고 있다. 심지어 국민 혈세나 다름없는 시청료로 운영되는 KBS를 사유물인 양 감사원 감사가 정치적 표적 감사라는 개인적 주장까지 방송으로 보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차제에 KBS 이사회의 보고서는 시민단체들의 주장이 사실과 부합한다고 예비판정을 내린 결과가 되었다. 더구나 이사회는 지난 정부에서 추천한 인사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지 않은가. 사정이 이러니 감사원 감사는 정치적 표적 감사라는 정 사장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어 보이고 근거도 희박하다. 실제 정 사장 취임 전 수백억원의 흑자를 기록하다가 취임 이듬해인 2004년에는 638억원의 적자를 기록함으로써 이후 KBS 적자시대가 개막됐다. 2006년과 2007년에는 각각 132억원, 310억원의 적자를 냈고 올해도 439억원의 적자예산까지 편성했으니 이사회가 정 사장을 편들고 싶어도 감쌀 명분이 없었음은 자명하다.
노조를 비롯한 KBS 종사자 절대 다수의 배척에다 이사회의 경영 실패 문책까지 받고서도 자리를 고집하는 것은 온당한 처사가 아니다. 임기제를 이유로 버틸 수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으나 임기제가 부실, 무능 경영에 대한 면죄부가 되어서는 안 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