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공학 등 4대 분야 융합연구
2017년까지 6245억원 투입
◆치매 예측 가능할까
정부는 올해 하반기부터 치매 예측 뇌지도 구축사업에 들어간다. 먼저 MRI(자기공명영상), PET(양전자단층촬영)를 비롯한 60∼80대 치매 환자의 뇌 영상을 수집한 뒤 이를 바탕으로 만든 데이터베이스(DB)를 분석해 한국인 표준의 치매 뇌지도를 구축하는 것이 골자이다. 정부는 뇌지도를 디지털화해 온라인으로도 치매 예측 및 조기 진단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예를 들어 치매가 의심되는 이의 뇌영상을 뇌지도와 비교해 진단을 내리거나 당장 증상이 없더라도 치매에 걸릴 가능성이 큰 뇌구조를 판별해주는 서비스를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래부는 아울러 혈액과 유전체를 비롯한 체액을 기반으로 치매를 조기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연구에도 착수할 계획이다. 폐암을 비롯한 몇몇 질병은 초기일 경우 혈액에서 특정 단백질 즉 바이오마커가 발견됐는 데 반해 치매는 아직까지 이런 연구성과가 발표되지 않았다. 치매와 관련한 바이오마커를 발견한다면 피나 유전체 검사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검사를 통해 치매를 조기 발견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고 미래부 측은 설명했다. 다만 의료 선진국이 뇌지도 구축사업을 10년이 넘는 장기 프로젝트로 추진하고 있는 점으로 미뤄보면 5년도 안 되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뚜렷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뇌 연구 청사진 제시
미국과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은 이미 뇌 연구에 천문학적인 예산을 쏟아부으며 공을 들이고 있다. 미지의 영역이 많은 뇌 연구가 미래 주력 사업 분야로 떠오르고 있어서다. 정부는 이날 융합학문의 결정판인 뇌 연구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연구·개발(R&D) 역량을 강화하고 핵심 원천기술을 선점하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뇌신경생물, 뇌인지, 뇌신경계, 뇌공학 등 4대 분야에 대한 융합연구를 통해 뇌신경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학습부진을 비롯한 뇌인지 이상에 대처할 수 있는 관련기기를 개발한다는 것이 장기적인 목표이다. 아울러 뇌 연구를 토대로 학교폭력·성폭력·가정폭력 등 3대 폭력이나 중독과 같은 사회적 문제의 해결방안을 찾아온 기존 연구도 더욱 촉진할 계획이다.
황계식 기자 cul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