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봉준호 "불안과 공포는 나의 힘…영화 제작 원동력"

입력 : 2015-05-20 21:41:56 수정 : 2015-05-21 15:58:3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마스터클래스 연 ‘괴물’ ‘마더’의 봉준호 감독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에게 ‘궁극의 공포’란 ‘과연 내게 재능이 있는지 없는지 의심이 드는 때’일 겁니다. 어떤 핑계도 댈 수 없는 잔혹한 순간과 맞닥뜨리는 것이죠. 하지만 궁극의 공포란 영원히 해소되지 않는 것이므로 그냥 짊어지고 갈 수밖에 없고, 자신에게 최면을 걸면서 계속 앞으로 나아가야만 합니다.”

‘극복되지 않는 불안과 공포-영화 창작과정에서 우리를 두렵게 하는 것들’이란 부제를 단 ‘봉준호 감독 마스터클래스’에서 봉 감독이 직접 털어놓은 속내다. 천재적인 감각과 구성력, 기교와 뚝심을 두루 갖추고 ‘한국 영화의 오늘’을 끌어가는 그도 창작의 고통에선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가 보다. 18일 오후 7시 서울 압구정CGV 아트하우스에서 열린 클래스는 3시간 10분 동안 한 차례도 쉬는 시간 없이 ‘롱테이크’로 진행됐다. 봉 감독은 ‘괴물’ ‘마더’ ‘설국열차’ 세 작품에 얽힌 연출의도를 구체적 사례에 녹여냈다.

“이처럼 공포가 밀려드는 것은 ‘집착’ 탓입니다. 집착하는 그 무엇이 해결되어야만 하는데 그것이 잘 안 될까봐 미리 겁부터 내는 거죠. 2005년 설국열차 원본 만화를 봤을 때 영화로 만들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이게 집착이 되어 10년 가까이 제 가슴과 머릿속에서 마치 암덩어리처럼 존재한 거예요. 영화를 완성하고 상영한 뒤, DVD나 블루레이를 장식장에 꽂을 때에야 비로소 암덩어리(집착)를 끄집어 낼 수 있었어요.”

‘잘나간다’는 봉준호 감독도 영화를 찍을 때면 불안과 공포를 크게 느낀단다.  사진은 지난 18일 서울 압구정 CGV 아트하우스에서 열린 ‘봉준호 감독 마스터클래스’ 모습.
CGV 아트하우스 제공
그는 담아내고 싶은 이미지가 머릿속에 형상화되어 있는데, 그것을 카메라에 그대로 옮겨낼 수 있을지, 콘티가 제대로 작성되지 않으면 어떡하나, 배우들이 풀어줄 거야, 아니면 편집에서 묘수가 나올 테지, 행여 편집이 깔끔하지 않더라도 음악과 사운드가 메워 주겠지, 그래도 안 되면… 다음 영화를 잘 찍어야지 등 끊임없는 걱정과 겁에 내쫓기는 게 영화작업이라고 말한다. 초반 아이디어가 정교하고 세밀할수록 더 불안하단다. 촬영현장에 나가서는 태양은 어디에 떴으며 필요할 때 비는 적당히 내리는지, 수많은 변수와 복병들을 상대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영화 '괴물'
“괴물을 촬영할 땐 관객과 괴물의 첫 만남을 가장 많이 걱정했습니다. 첫인상이 중요하니깐요. 대부분의 괴물 영화가 그렇듯, 중반에야 괴물의 발톱이나 꼬리가 살짝 나오고 후반에 이르러 적당히 분위기 잡는 사운드와 조명이 깔리면 정체를 서서히 드러내는데, 저는 이같이 정형화한 출현이 싫었어요. 그래서 객기를 부리듯 정면으로 ‘공식’을 위반했죠. 시작한 지 15분 안에 대낮 장면에서 괴물의 전체 모습을 충분한 시간 동안 다 드러내 보인 겁니다. 괴물이 심해나 우주공간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내가 살고 있는 주변에서 나타난다는… 부조화적 설정인 셈인데, 재난은 원래 그렇게 뜻하지 않게 일어나는 것이니깐, 더 충격적이겠죠. 그런데 생과 사가 엇갈리는 순간에도 사람들은 엉뚱한 데 집중하고 있어요. 소소한 것에 몰두하다 보니 갑자기 들이닥친 재앙에 그대로 노출되고 마는 거예요. 자세히 보면 영화는 그 순간을 잘 담아내고 있어요.”

그랬다. 헤드폰을 쓰고 음악을 들으며 손톱밑 때를 파던 아가씨는 괴물에 깔린 채 한참을 끌려다니게 되고, 괴물의 등장을 목격한 순간에도 강두(송강호)는 오징어 다리가 열 개라고 손님에게 항변하고 있으며, 발로 찬 맥주 캔이 저만큼 나가떨어진 채 액체를 내뿜는 모습을 지켜보던 현서(고아성)는 괴물의 꼬리에 감겨 끌려가고 만다. 난동 부리는 괴물을 차창 밖으로 지켜보고 있는 버스 안 승객들은 흘러나오는 ‘57분 교통정보’를 평소처럼 듣고 있다. 아비규환의 무질서 속에서도 봉 감독이 치밀하게 계산한 장면들은 이처럼 자기 자리를 잡고 있었던 것이다.

“촬영할 때는 현장에 괴물이 없었기 때문에 동선을 세밀하게 짰어요. 괴물 대역의 달리는 오토바이에 맞춰 배우와 엑스트라들이 자신의 동선을 지키면서 각각 주어진 연기를 펼쳤습니다. 한강에 놀러왔던 시민들이 이를 지켜볼 때 얼마나 이상했을지, 특히 주연배우 송강호가 혼자 미친 듯 이리저리 뛰거나 보이지 않는 무엇인가를 상대로 싸우는 모습은 퍽이나 우스웠을 테죠.”

괴물은 물론 괴물에 차여 강으로 날아간 사람, 몸에서 나는 먼지 등은 모두 CG(컴퓨터그래픽)로 처리한 것들이다.

영화 '마더'
‘마더’는 살인자로 몰린 아들의 결백을 주장하기 위해 자신도 살인을 저지르게 되는 엄마의 이야기다.

“제가 어릴 때 관광버스 안에서 춤추고 놀던 아주머니들을 본 기억을 떠올려 영화의 끝부분에 사용했습니다. 태양빛이 옆에서 수평으로 버스 안을 비치도록 1월 7일을 잡아 찍었어요. 버스 안 뒤쪽에 앉아 있던 엄마(김혜자)가 일어나 아주머니들이 춤추고 있는 무리 사이로 들어가는 모습을 버스 바깥에서 또 다른 버스를 타고 따라가며 망원렌즈로 촬영해 실루엣을 담았습니다. 모니터를 보니 역광 속에서 엄마의 춤추는 동작이 마치 태양을 향해 손을 흔드는 것처럼 보이더라고요. 아들을 구하기 위해 또 다른 죄를 지은 일들을 모두 햇님에 맡기겠다는 엄마의 심정이 담긴 것 같아 이 장면을 지금도 좋아합니다.”

봉 감독은 촬영하던 인천공항 주변 매립지에 마음속 종양덩어리를 빼내 툭 던지고 오는 기분이었다고 회상했다.

영화 '설국열차'
‘설국열차’는 좁은 기차 안에서 앞 칸을 향해 나아가려는 집단과 이를 막으려는 집단이 벌이는 강렬한 전투신이 일품이다.

“좁고 긴 공간 안에서 손도끼나 창에 의해 유혈이 낭자한 전투신을 그린 영화가 거의 없어 꼭 찍어야겠다고 벼르던 작품입니다. 수많은 등장인물과 사건들을 마치 복도 같은 곳에서 2시간 내내 풀어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시작했어요. 결국 빛과 어둠을 활용키로 했죠. 긴 터널을 통과할 때 생기는 어둠과 횃불의 밝음을 전투에 적용한 것이 주효했습니다. 성냥을 그은 소년에 이어 웃통을 벗은 성인이 횃불을 이어받아 차량 속 길게 난 공간을 달리는 장면에서 원시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이를 전투까지 연결 지은 것입니다. 갖은 역경을 거쳐 마지막 엔진 칸에 도달하는 전개라서, 원작의 26개 기차 칸을 고수했어요. 한 칸이 설령 휙휙 지나간다 하더라도 아예 빼버리는 것보다는 영화를 풍족하게 만들어 줄 역할을 해낼 것이라 판단했습니다.”

봉 감독은 즐겨 찾는 카페 몇 군데를 돌며 적당한 소음 속에서 시나리오를 쓴다. 늘 대여섯 작품을 구상 중인데, 패륜아들이 떼지어 나온다거나 공공장소에서 사람이 많을수록 더 무서워지는 독특한 공포영화를 생각하고 있다. 잘못된 신앙을 다루는 작품의 경우 이미 큰 건물이 불타는 장면까지 구체적으로 떠올린 상태다. 하지만 지금은 차기작 ‘옥자’에 몰입 중이다.

“구로자와 아키라나 스탠리 큐브릭 등 거장 감독들도 자신을 학대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영화는 혼자 보기 위해서 찍는 게 아니라,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해 만드는 것이므로 그저 묵묵히 견디며 불안과 공포를 이겨내야만 합니다.”

김신성 기자 sskim65@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뉴진스 다니엘 '반가운 손 인사'
  • 뉴진스 다니엘 '반가운 손 인사'
  • 박규영 '아름다운 미소'
  • 오마이걸 아린 '청순&섹시'
  • 임지연 '여신의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