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승현칼럼] 인간에 남은 마지막 방파제, 바둑

관련이슈 이승현 칼럼

입력 : 2016-02-18 21:16:48 수정 : 2016-02-19 00:26:4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체스, 퀴즈 장벽 넘어선
인공지능의 거센 도전
이세돌이 3월 5번기서
알파고에 완승 거둔다 해도
인간·기계 공존 방식
성찰하는 계기로 삼아야
바둑은 민주주의 보루였다. 적어도 1987년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뤄지기 전인 5공 시절까지는 그랬다. 바둑은 한 수씩 교대로 둔다. 공평하다. 반면 70·80년대 사회는 동시대인들에게 공평하게 느껴질 수 없었다. 흑은 한 번에 한 수를, 백은 여러 수를 두는 세상으로 비친 탓이다. 정치적 승패든, 경제적 승패든 손에 잡히는 결과 또한 흔쾌히 받아들여지기 어려웠다. 인생 축소판이라는 바둑판 앞에 모인 애기가들은 바깥세상을 향해 혀를 찼다.

바둑은 국격을 높인 두뇌 스포츠였다. 적어도 조훈현 9단이 제1회 응씨배를 제패한 89년 9월부터는 그랬다. 결승 상대 녜웨이핑 9단은 중국이 자랑하는 ‘철의 수문장’이었지만 조훈현 앞에선 무력했다. 바둑 강국의 시대가 그렇게 열렸다. 일본에는 원래 밀리고, 신흥 세력 중국에도 뒤처지는 것으로 보이던 한국 전투바둑은 세계 최강으로 거듭났다. 가장 빛난 후속 스타는 조훈현의 제자 이창호 9단이다. 스승과 상반되는 두터운 기풍으로 세계 바둑계를 호령했다. 그것도 아주 오랫동안. 세상은 ‘신산(神算)’으로 받들었다. 이창호와 한국 바둑을 기리는 신전을 짓고 경배를 한 것이다.

이승현 논설위원
바둑은 이제, 인간에게 남은 마지막 방파제다. 인간·인공지능 정면승부가 임박했다는 점에서 그렇다. 바둑 이후에도 인공지능 쓰나미를 차단할 방파제가 남아 있을까. 그렇게 믿기 어렵다. 적어도 연산·판단 능력을 견주는 두뇌 게임 차원에선 이번에 밀리면 끝장이라고 봐야 한다. 3월9일 시작되는 이세돌 9단과 구글 바둑프로그램 ‘알파고’의 5번기는 상금 100만 달러만 걸린 게 아니다. 인간 자존심도 걸려 있다. 미래가 걸려 있는지도 모른다.

바둑에 앞서 인공지능을 상대한 것은 서양 장기인 체스다. 현대 정보이론 창시자인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수학자 클로드 섀넌이 체스 프로그래밍 논문을 낸 1950년부터 헤아리면 체스 고수들은 40년 넘게 컴퓨터 공격을 막아냈다. 체스가 결국 무너진 것은 97년이다. IBM 슈퍼컴퓨터 ‘딥블루’가 세계 챔피언 게리 카스파로프를 꺾었다. 이어 2011년에는 ‘왓슨’이 인간 퀴즈왕들을 물리쳤다.

바둑 방파제는 이번에 건재할 수 있을까. 아마도 그럴 것이다. 알파고를 얕볼 계제는 아니다. 지난해 10월 유럽 챔피언 판후이를 5대 0으로 꺾었으니 수준급인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구글 측이 50대 50의 승률을 점치는 것도 찜찜하다. 하지만 이세돌과 판후이는 같은 반열이 아니다. 유럽 챔피언을 넘어섰다고 세계 정상급까지 넘보는 것은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르는 격이다.

바둑의 복잡성도 감안해야 한다. 체스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10의 10승의 50승이라 계산한 수학자들이 있다. 디에고 라스킨 구트만 같은 학자는 “체스의 경우의 수는 우주에 존재하는 원자의 수보다 더 많다”고 했다. 바둑은 그러나 전혀 다른 경지의 신천지다. 어마어마한 경우의 수 차이를 들먹일 필요도 없다. 체스는 전투, 바둑은 전쟁이다. 한마디로 비교 불가다. 이세돌은 최근 “한 판이라도 진다면 인간이 컴퓨터에 무너지는 신호탄이 된다”면서 5전 전승을 자신했다. 적어도 이번에는 그렇게 돼야 한다.

3월 5번기의 최종 결과에 관계없이 알파고가 이세돌에게 도전장을 내밀 만큼 급속도로 진보한 것은 여간 놀라운 일이 아니다. 19세기 영국 작가 겸 정치가 벤저민 디즈레일리는 정치소설 ‘탕크레드’를 썼다. 그 작중 인물인 콩스탄스 부인은 “우리 다음에 오는 존재는 훨씬 더 뛰어난 존재일 거예요. 어쩌면 날개가 달려 있을지도 모르죠”라고 말한다. 알파고가 과연 그런 부류일까.

물론 기술혁명이 아무리 대단해도 인류를 멸절하려 드는 영화 ‘터미네이터’의 스카이넷 따위를 떠올리며 겁먹고 움츠러들 계제는 아니다. 하지만 인간과 기계의 공존 방식을 보다 진지하게 성찰할 시기는 충분히 된 모양이다. “향후 100년간 인류가 직면할 위협은 과학기술 발전에서 비롯될 것”이라는 영국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의 경고도 신중히 살펴봐야 할 것 같다. 지난 1월 ‘4차 산업혁명의 이해’ 주제로 열렸던 다보스포럼 논의 내용도 새삼 곱씹을 일이다. 바둑은 지금, 인간 성찰을 요구하는 가시방석이다.

이승현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혜리 '겨울 여신 등장'
  • 혜리 '겨울 여신 등장'
  • 권은비 '매력적인 손인사'
  • 강한나 '사랑스러운 미소'
  • 김성령 '오늘도 예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