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월 공동주택 분양 실적은 전국 1만116가구로 1년 전 같은 달에 비해 31.3% 줄었다. 분양실적이 줄어든 것은 지난해 2월 이후 11개월 만이다. 지난 연말 이후 불거진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와 미국 금리인상, 일부 지역 미분양 아파트 증가 등의 악재로 건설사들이 공급조절에 나선 탓이다. 하지만 시장의 이 같은 자체 공급조절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전망이다.
클릭하면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
주택시장이 한동안 공급과잉 우려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특히 1월 전체 주택 인허가 물량이 분양실적과 달리 지난해 같은 달보다 42.9%나 급증했다. 이번에 인허가를 받은 주택이 완공되는 2~3년 후쯤에 다시 공급과잉 부메랑이 돌아올 수 있다는 뜻이다. 이들 주택이 입주할 시점에 지금처럼 수요가 뒷받침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급증한 1월 인허가 물량이 수년 뒤 터질 공급과잉 폭탄의 자양분이 될 개연성이 크다.
수도권과 지방을 막론하고 인허가 실적이 증가한 것도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이는 향후 주택시장의 양극화가 심화할 거란 예상과 배치되는 모습이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실장은 “기반시설이 잘되어 있거나, 개발 호재가 많아 미래가치가 높거나, 공급이 없었던 지역은 여전히 청약이 잘 되는 반면, 그렇지 않은 비인기지역은 미분양 우려를 배제할 수 없다”며 “앞으로는 같은 지역 내에서도 호불호가 갈려 단지별·개별적으로 수요가 움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토부는 여전히 공급과잉 가능성을 일축한다. 국토부는 지난달 재건축·재개발사업 등 정비사업을 위한 인허가가 많아져 전체 인허가물량이 증가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비사업을 빼면 지난달 인허가물량이 지난해에 비해 소폭 늘어난 수준이라는 것이다. 실제 지난달 정비사업지구 인허가물량은 1만4000가구로 작년 같은 달(2000가구)에 비해 6배가량 늘었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