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수용성 확보 방안 논의해야
개발안내서 준수 여부 등도 검·인증
인재 키워 반도체 설계 ‘팹리스’ 보완
기술 탈취 시도 많아 유출 대응 중요
AI반도체로 ‘K클라우드’ 구축도 박차
누리호 성공으로 발사체 신뢰도 ‘업’
美와 아르테미스 사업 등 우주협력
학생 이공계 유입 생태계 조성 필요
“인공지능(AI) 확산으로 미국 반도체업체 엔비디아는 GPU(그래픽처리장치)를 만들어 성공했지만 에너지 소모 탓에 내부에서도 걱정이 많을 것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러한 화려한 영광 속에 다가올 어두운 미래를 읽어야 합니다. 유비무환의 정신으로 해야 합니다.”
한국 과학기술을 책임지는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고민은 깊다. 양자, AI, 디지털, 바이오 등 첨단기술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미래 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정부는 12대 국가전략 기술 선정과 지원 방안 발표에 이어 27일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전략을 제시했다. 첨단 혁신 기술에 우리나라 미래를 책임질 먹거리가 있다고 보고 중장기적인 투자 및 육성 전략을 순차적으로 내놓은 것이다.
앞서 지난 15일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 집무실에서 진행된 세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이 장관은 “기술 패권이 심해지는 엄중한 시기에 국가정책 방향을 잘못 설정하는 것 아닌가 하는 두려움을 가지고 여러 번 질문하고 점검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주, 양자, AI, 6G, 바이오, 핵융합 등 미래성장을 선도하고 국민 먹거리를 책임질 핵심 분야를 중점적으로 육성해 나가야 한다. 역량을 모아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에게 우리나라 과학기술과 디지털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이를 뒷받침할 인재를 키울 방안을 들어봤다.
―글로벌 빅테크와의 초거대 AI 경쟁에서 국내 기업이 늦어지고 있다는 우려가 있는데 지원은.
“그동안 AI에 국가적으로 투자는 계속해 오고 있었다. AI 분야가 다양한데, 최근 대화형 AI, 생성 AI가 부상해 달라진 부분에 대처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데이터와 컴퓨팅 자원 등 핵심 인프라다. 재정비해서 초거대 AI 모델을 어떻게 해나갈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 어떤 부분은 늦어진 게 아닌가 하는 우려도 맞다. 그러나 한국은 초거대 AI 모델을 가진 전 세계 4개국 중 하나다. 초거대 AI 모델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가 중요하다.”
―어떻게 AI를 활용할 수 있을까.
“한국의 특화된 역량을 찾아야 한다. 예를 들어 법률이나 의료 이런 분야에서 잘 활용하면 전문가들 도와서 업무능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의료의 경우 우리나라 병원 기록은 어느 나라보다도 디지털화가 잘돼 있다. 이런 유리한 분야를 잘 찾으면 우리가 리드할 기회가 있을 것이다.”
―AI 규제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어떤 규제가 필요하다고 보나.
“이미 사람들은 AI의 능력을 봤다. 되돌리는 건 어렵다. AI로 인한 여러 가지 쟁점을 슬기롭게 해결해야 한다. AI를 진흥하다 보면 규제가 완화되면서 윤리성 문제나 일자리를 빼앗기는 문제 등 두려움이 생길 수 있다. 내 데이터, 내가 만든 창작물을 학습해 AI가 만들어 내면 나는 어떤 보상을 받아야 하지 않느냐는 항의도 나올 수 있다. 기존 규범으로 다루기 어려운 문제들이다. 민간의 단체·조직들이 나서서 사회적 수용성을 만들 수 있도록 끊임없이 토론하고 하나씩 정리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조성해야 한다. 고위험 AI이라면 규제가 필요하다. 국회 소위를 통과한 인공지능법안에 관련 내용이 담겨 있다. AI 자율점검표, AI 개발안내서 요구사항에 대한 준수 여부를 평가하는 검·인증체계도 준비 중이다.”
―한국 반도체가 주춤하는 사이 미국 엔비디아나 대만 TSMC 등은 약진하고 있다. 반도체 전문가로서 한국 반도체 산업에서 무엇을 보강해야 한다고 생각하나.
“우리가 잘하는 메모리 반도체는 신뢰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게 제조기술이다. 기술을 빼내려는 시도가 많은데 잘 대응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부족한 부분은 반도체 설계, 팹리스다. 인재를 키워 보완해야 한다. AI 반도체 등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새로운 유망 분야에 대한 전폭적 지원을 통해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도 필요하다. 정부는 국산 AI반도체로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는 ‘K클라우드’ 프로젝트에 착수해 세계 최고의 초고속·저전력 AI반도체 개발에 힘쓰고 있다.”
―K클라우드를 강조하는 이유는.
“클라우드는 앞으로 대세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가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우뚝 서 세계 1등을 하면 좋겠다. 현재 1등인 AWS(아마존웹서비스)나 MS(마이크로소프트)와 비교하면 우리가 많이 부족하다. 기업에 해 달라고 부탁하는 것이 아니고 정부는 시장을 조성해야 한다. 시작이 디지털교과서다. 교육부와 함께하고 있다. 교과서와 클라우드가 연계되면 관련 중소기업이 많이 만들어질 것이다.”
―양자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왜 중요한가.
“양자과학기술은 상용화까지는 갈 길이 많아 남아 있지만 게임체인저이자 파괴적 혁신기술이다. 양자컴퓨터는 슈퍼컴퓨터가 백만년이 걸려 풀 수 있는 문제를 수백초 안에 해결할 수 있다. 온라인 암호체계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창이자 해킹을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있는 방패이기도 하다. 국가의 명운을 걸고 양자기술 확보해야 할 때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3차 누리호 발사가 성공했다. 어떤 의미를 가지나.
“연속 성공했다는 측면에서 굉장히 평가할 만하다. 우리 기술로 만든 우리나라 발사체였고, 특히 이번에는 위성도 우리가 만들어서 올렸다. 자유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한국 발사체 신뢰도도 높아졌다. 경쟁자, 수요자들에게 알리는 거다. 한국의 발사체가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앞으로 누리호보다 성능이 뛰어난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통해 달 탐사 등 우주탐사에 도전하고, 우리 고유의 위성항법 시스템도 확보할 계획이다.”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뉴스페이스 시대가 오고 있는데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이번에 체계종합기업 민간기업이 조립, 발사 운용에 참여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우주경제 시대가 열린 것이다. 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고, 민간발사장을 만들어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우주환경 시험을 할 수 있는 곳도 있어야 한다. 우주 관련 여러 가지 벤처기업 육성 등 하나하나가 우주경제시대의 토대라고 볼 수 있다.”
―지난달 윤석열 대통령 미국 방문 당시 한미 우주협력 공동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구체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협력사업이 있나.
“미국의 유인 달 탐사사업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하나로 미국이 내년 발사 예정인 달 착륙선에 우리나라 ‘달 우주환경 모니터’가 탑재된다. 태양이나 심우주에서 오는 고에너지 입자 등을 모니터링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한국의 달탐사선 다누리에는 미 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한 섀도캠(고정밀 촬영 카메라)이 장착돼 있다. 아르테미스 사업 세번째 발사에서는 사람을 보내는데, 달의 어디에 착륙할 것인지 탐색할 때 섀도캠 데이터가 역할을 할 것이다. 아르테미스 사업뿐 아니라 또 다른 우주협력 과제도 적극 발굴해 같이 연구하겠다.”
―기초과학도 꼭 필요한 분야다.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가 한국은 아직 한 명도 없다는 아쉬움이 매년 나온다.
“조만간 우리나라에서도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한다.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한국고등과학원 석학교수)가 지난해 노벨상과 다름없는 상을 받았다. 1950년대 잿더미가 된 나라에서 먹고사는 기술이 더 중요했기에 기초과학을 늦게 시작했다. 그래도 선배들이 현명한 선택을 해서 경험이 쌓이고 있다. 노벨상 타려면 기본적으로 기초과학을 장기적으로 해야 한다. 정부는 올해 10년 동안 최대 20억원을 지원하는 한우물파기 사업과 신진연구자의 과감한 도전을 지원하는 한계도전 연구개발(R&D) 사업을 착수했다.”
―기초과학이나 첨단기술은 인재가 뒷받침돼야 하는데, 요즘 학생들이 이공계로 가지 않고 의대로 간다.
“크게 보면 공정하게 이익이 돌아갈 수 있는 선순환 생태계가 만들어져야 한다. 정책적으로 우수한 사람이 인센티브·이익을 많이 가져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인재양성을 위해 기업이 같이 하면 좋은 효과가 나는 게 무엇이 있을지 지난해부터 기업과 지속 논의하고 있다. 인재 문제는 국가 문제이기도 하지만 기업의 문제이기도 하다. 수백조 투자를 한다지만 미래기술 개발하는 사람들의 능력이 모자라면 효과는 줄어드는 것이다. 시간과 비용이 더 들면 기업에는 치명적이다. 의대를 나쁘게만 봐서도 안 될 것 같다. AI 등 기술이 발전하고 있기에 의사들과 협업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영역이 생길 것이다. 성공하는 사례, 롤모델을 많이 만들어야 한다.”
―5G 중간요금제가 나왔지만 이용자 불만은 여전한데, 방안은.
“더 세분된 5G 요금제가 나올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정부는 통신시장 경쟁시스템을 개선할 계획이다. 알뜰폰 사업자 경쟁력 제고와 신규사업자 진입 지원, 맞춤형 요금제 정보 제공 강화 등을 내용으로 정책을 준비 중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통신 관련 기술을 개발해 비용이 절감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통신 시설이나 장비를 통해 기술적으로 전력 수급을 줄이는 것이다. 통신사들에게 기술을 활용해 비용 부담을 줄여줄 테니 그걸 국민한테 환원해 달라고 요구할 것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966년 경남 출생 ●경북대 전자공학 학사(1987), 서울대 전자공학과 석·박사(1993) ●원광대 전기공학과 교수(1994~2002) ●경북대 전자전기컴퓨터학부 교수(2002~2009)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교수(2009) ●녹조근정훈장(2015)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석학회원(2016)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2018~2022) ●과기정통부 장관(2022∼현재)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