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전력 요금 인상 시기 놓쳐”
추경 편성엔 반대 입장 재확인
“긴축 재정은 文정부 부채 때문”
7일 열린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는 경기침체와 국가부채, 연구개발(R&D) 예산 문제 등을 두고 야당 의원과 정부가 설전을 벌였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윤석열정부의 긴축재정 원인으로 문재인정부 때 늘어난 국가부채를 꼽으며 정부와 국민이 모두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요구에는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국전력 부채 문제와 관련해서는 전기 요금 추가 인상을 시사하기도 했다.

한 총리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으로부터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 한국의 경제 성적표가 유독 더 나쁜 이유에 대한 질문을 받고 “지난 정부에서 국가부채비율이 50%에 달하고 (채무가) 400조원 늘었다”며 “우리의 모든 경제는 대외 요인에 의해 평가받는 처지다. 우리는 결국 재정이나 금융 측면에서 확장적 정책을 쓸 수 없는 상황이라 정부와 국민이 허리띠를 졸라매며 성장 동력을 확보해 지속 가능한 성장이 되게 해야 한다”고 답했다. 추경에 대해서는 “자라나는 청년들에게 엄청난 부담을 증가시키는 것”이라며 반대했다.
한 총리는 한전 부채 문제에 관한 민주당 김정호 의원의 질의에 “가능하다면 전력 요금 조정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추가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 총리는 “전 정부에서 국제 유가가 오르고 가스 값이 오르는 와중에 고통스럽더라도 가격 조정을 해 줬어야 했는데 못한 것”이라며 “그 여파가 지금 엄청난 적자로 나타났다. 어떤 대책이든 있지 않으면 한전이 부도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논란이 된 R&D 예산 삭감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민주당 정태호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6월28일 재정전략회의에서 한마디 하면서 R&D 예산이다 깎여 버렸다. 31조원이 25.9조원으로 깎였다”며 “대통령 한마디로 이렇게 막 무너져도 되는 건가”라고 지적했다.
이에 한 총리는 “대통령의 한마디에 깎였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건 의원님의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맞받아쳤다. 이어 조성경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은 “저희가 지난해 11월30일에 국가 과학기술 원로와의 오찬이 있었다. 그때 과학기술 원로들이 ‘나눠먹기식’ 예산을 지적하셨고 이 부분에 대해 대통령이 이와 관련해 원로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받아 당시 자리에 있던 과기부 장관에게 R&D 혁신을 하라고 지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대정부질문에서는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를 두고도 여야 간에 신경전이 벌어졌다. 야당은 오염수 문제와 관련해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을 신뢰할 수 있냐는 문제를 제기했고 여당은 ‘괴담·선동’ 프레임을 또다시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