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무인수상정 정찰 후 드론으로 적 섬멸… “미래戰 준비 이상 무” [디펜스 포커스]

, 디펜스 포커스 , 세계뉴스룸

입력 : 2023-11-08 06:00:00 수정 : 2023-11-08 07:30:4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軍, 무인 전투체계 재편 가속

해군, 무인장비 운용 단계별 확대 추진
소총사격무인기로 위협세력 신속 탐지
2020년대 후반 자폭드론 등 함정 탑재
유사시 전자 공격 전자전 무인기 개발

육군, 병역자원 감소 대응 新기술 접목
2040년 ‘아미타이거’ 전투부대 완성
北 무인기 저지 ‘안티드론 체계’ 확보
GOP선 AI기반 경계작전체계 구축도

2030년대 이후를 대비하는 군의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사람 중심으로 이뤄지던 기존의 전쟁 대신 무인 무기의 비중이 커지는 것과 무관치 않다. 이와 관련해 해군과 육군은 무인 기술과 인공지능(AI)을 비롯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전면적으로 반영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해군 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서 지난 6월8일 해양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를 적용한 상륙작전 시연에 투입된 무인수상정들이 항해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해군, 공격·정찰도 무인기 활용

문재인정부에서 3만t급 경항공모함 건조를 추진했던 해군은 경항모 대신 무인 무기를 이용한 해상작전을 앞세우는 모양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우크라이나 해군이 무인수상정으로 러시아 해군을 공격하고 있고, 미국 등도 무인 무기를 앞세운 해상작전 개념을 발전시키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평가다. 해군은 2003년 미국산 쉐도우-400 무인정찰기를 도입한 바 있다. 하지만 엔진 결함 등 문제로 운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 무인 무기 운용이 제한적으로 이뤄졌지만, 최근엔 무인정찰기와 잠수정·수상정 운용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해군의 무인 무기 운용 계획인 ‘해양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발전 로드맵’은 3단계로 구성된다. 우선 무인표적정과 무인정찰기 해상 실험 등을 진행한다. 2020년대 중반에는 소총 사격 무인기와 함 탑재 단거리 정찰용 무인기, 정찰용 무인수상정 등을 확보할 예정이다. 소총 사격 무인기는 해군기지에 침입을 시도하는 위협 세력을 탐지해 신속하게 공격할 수 있다. 기지 경계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해군이 구상하는 함 탑재 단거리 정찰용 무인기는 지난 9월 ‘국군의날’ 기념식에서 공개된 S-100 무인정찰 헬기와 달리 고정익 기체 형상을 지니고 있다. S-100은 20여개 국가에서 쓰일 정도로 성능을 인정받고 있으나 비행시간(6시간)이 짧다는 지적을 받았다. 고정익 무인기는 이런 한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미 해군이 함정에서 쓰는 스캔이글 고정익 무인정찰기는 24시간 비행이 가능하고, 전파 수신 거리도 최대 1500㎞에 달한다. 함 탑재 단거리 정찰용 무인기가 함정에서 이륙해 오랜 시간 비행하며 주변을 정찰한다면 소형 보트를 비롯한 위협에 대처할 능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상작전 중에서 인명피해 위험이 큰 기뢰 제거 작업은 자항식 기뢰 제거 처리기와 수중 자율 기뢰 탐색체가 담당할 전망이다.

2020년대 후반 이후에는 무인장비 비중이 확대될 전망이다. 함정에는 군집형 자폭드론, 장거리 자폭 무인기, 정찰용 무인기 등이 탑재된다. 함대지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에 더해 장거리 자폭 무인기가 추가 배치되면, 지상 공격 옵션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군집형 자폭드론은 폭발물을 실은 다수의 드론을 함정에서 운용하다가 적 함정을 공격하는 무기다. 격침시키지 못하더라도 레이더 등 주요 장비를 무력화할 수 있다. 기뢰전 등에 쓰일 무인수상정도 등장할 전망이다.

동·서·남해 해상경계를 맡는 함대사령부의 정찰용 무인기 도입도 추진된다. 함정과 해상초계기만으로는 넓은 한반도 해역을 완전하게 감시할 수 없다. 조만간 전력화할 중고도 무인정찰기(MUAV) 수준의 능력을 지닌 정찰무인기를 운용하면 함대사령부 차원의 군사작전 대응에 필요한 정보가 한층 많아질 전망이다.

북한과 주변국을 상대로 전자정보를 수집하고, 유사시 전자 공격을 감행할 수 있는 전자전 무인기도 개발한다. 현재 지상전술전자전장비(TLQ-200K)를 육군 차기 군단급 무인정찰기에 탑재하는 개념을 적용한 전자전 무인기 개발이 준비되고 있다. 여기에 공군 전자전기 도입도 추진 중이다. 두 사업을 통해 확보한 경험과 기술을 활용하면 해군 전자전 무인기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육군, 2040년 ‘아미타이거’ 완성

육군은 북한과 주변국의 군사력 증강과 더불어 인구절벽으로 인한 병역자원 감소에 대응하고자 첨단 과학기술을 접목한 ‘아미타이거’(Army TIGER) 중심의 지능형 유무인 복합 전투체계로의 단계적 발전을 추진 중이다. 우선 2040년까지 육군의 모든 전투부대를 아미타이거 부대로 재편할 예정이다. 현재 아미타이거 부대 현실화를 위해 25사단 70여단을 시범 부대로 운영하고 있다. 다른 부대에서 장비를 가져오거나 임차하는 등 방식을 통해 시범 부대를 완전하게 편성할 방침이다. 2027년까지 보병 사(여)단 부대 구조와 편성 개념을 확립하고 관련 장비 48종을 전력화한다. 2035년까지는 보병부대를 아미타이거로 전환하며 최신 차륜형장갑차를 비롯한 39종의 장비를 새롭게 도입한다. 2040년에는 모든 전투부대가 아미타이거로 전환된다.

북한 소형 무인기의 침투에 대비해 무인기 비행을 저지할 수 있는 안티드론(anti-drone) 체계 도입도 서두른다. 미 국방중기계획에 따르면 육군은 2024~2028년 접적 지역과 중요 시설에서 운용할 안티드론 통합체계를 확보할 예정이다. 드론을 격추할 휴대용 드론건과 고출력 전자기파대공무기도 도입한다.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쓰는 다목적 성층권 장기체공 무인기 확보도 추진한다. 성층권(고도 10~50㎞) 비행은 군사적 가치가 높다. 구름 위에 있어 강한 빛을 동력으로 확보할 수 있고, 고도가 지나치게 높지 않아 고화질 촬영과 통신 중계 등에 유리하다. 국내에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고도 18㎞에서 비행하는 태양광 장기체공 무인기(EAV-3)를 만들었다. 이보다 성능이 향상된 EAV-4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 이밖에도 AI를 활용한 미래 일반전초(GOP) 유·무인 경계작전체계 구축을 단계적으로 진행한다. AI 기반 해안경계 작전체계 구축(2025~2028) 및 해안 경계부대 개편 등도 추진할 예정이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엔믹스 설윤 '완벽한 미모'
  • 엔믹스 설윤 '완벽한 미모'
  • 아일릿 원희 '상큼 발랄'
  • 미연 '순백의 여신'
  • 박보영 '화사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