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세 이상 반려동물 보유율 6.7%
신체·정서적 건강에 긍정적 효과
호주에선 고령자 대상 반려동물 지원
“반려동물 동거 가능 요양시설 등
정부도 정책적인 접근 고려해야”
반려동물 가구 늘며 소비도 변화
펫 유모차 판매량, 유아용 첫 추월
노인돌봄서비스 정책에 반려동물 친화적인 서비스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온다. 고령층에 대한 반려동물의 신체·정서적 건강효과 등을 고려하면 의료비 지출을 줄이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25일 보험연구원(KIRI)의 송윤아 연구위원이 펴낸 ‘KIRI리포트: 반려동물 친화 장기요양서비스 검토 필요성’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의 2020년 인구총조사에서 65세 이상 고령가구의 반려동물 보유율은 10.6%로 약 50만4000가구에 달했다. 이 중 1인가구는 약 12만7000가구로 나타났다.
특히 65~74세 1인가구의 반려동물 보유율은 8.5%로 약 7만2000가구에 이르며, 75세 이상 후기고령자의 반려동물 보유율도 6.7%로 5만5000여가구에 달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꾸준히 늘면서 소비 성향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오픈마켓 G마켓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반려동물용 유모차 판매량이 사상 처음으로 유아용 유모차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두 카테고리 합계 판매량을 100으로 봤을 때 반려동물용 유모차 판매 비중은 2021년 33%, 작년 36%로 소폭 높아진 뒤 올해 1∼3분기에 57%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반대로 유아용 유모차는 2021년 67%, 작년 64%에서 올해 43%로 뚝 떨어졌다. G마켓 관계자는 “반려동물용 유모차의 판매는 늘고 유아용의 판매는 감소하는 현상은 이전부터 지속해온 추세”라고 설명했다.
반려동물이 고령자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다수 발표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 올해 지역사회 거주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반려동물 보유자일수록 장기 요양서비스 이용률이 낮고, 서비스를 이용하더라도 더 낮은 수준의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반려동물의 건강효과에도 불구하고, 고령자는 양육·진료비용에 대한 부담과 자신의 건강 우려로 반려동물 보유에 신중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송 연구위원은 “양육비용에 대한 부담을 차치하더라도, 고령자는 자신의 정신적·육체적 건강악화, 돌봄시설 입소, 또는 사망 등에 따른 반려동물 양육 및 거취에 대한 우려가 타 연령층에 비해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해외에서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정부가 반려동물 돌봄을 지원하는 곳도 생겨나고 있다. 호주의 경우 장기요양 재가급여(요양보호사가 집으로 방문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령자의 40%가 반려동물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중 9%가 반려견 산책 또는 동물병원 방문 등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는 요양시설의 18%가 반려동물 보유를 허용하는 등 반려동물 친화 고령자 주택단지도 확충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장기적으로 고령자의 반려동물 보유에 대한 정책적 접근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려동물이 고령자의 정신적·육체적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통해 의료비 재정지출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데다, 보호자의 건강악화 등으로 인한 반려동물 유기 문제에도 대비할 필요성이 있다.
송 연구위원은 “노인돌봄서비스 공급자 관점에서도 반려동물 서비스는 차별화와 소비자 수요 측면에서 적절한 사업 모형”이라며 “장기요양 재가급여 수급자의 반려동물 돌봄을 지원하거나, 반려동물 동거가 가능한 요양시설을 지원하는 방안을 장기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