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오물 풍선을 날려보낸 지난달 29일 서해 북방한계선 NLL 이북에서 남쪽으로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공격을 감행했다. 당시 오전 10시부터 1시간 동안 인천 해상을 지나는 여객선의 GPS 플로터(지도 내 선박 위치를 확인하는 항해 장치) 오작동이 이뤄졌다. 다음날 오전에도 서해 북단 섬 일대에서 동일 신호가 탐지되며 여객선뿐만 아니라 대청도 등 인근에서 조업하던 어선이 큰 불편을 겪었다.
서해5도를 행정구역으로 둔 인천시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교란 전파 방지 장치를 만들어 성능 실험에 착수했다. 부여된 기능을 수행하면 개당 2만원 재료비로 수백억원 이상의 경제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시는 내다봤다.
19일 시에 따르면 어업지도선(인천 201호) 내 장착된 이번 설비는 GPS 수신용 안테나에 보호막을 씌우는 방식이다. 인공위성의 수직전파는 정상적으로 수신될 수 있도록 윗면을 개방하고, 하단·옆면엔 알미늄 테이프로 덮는다.
북한의 교란 전파는 플래시처럼 수평 방향으로 발사돼 산이나 건물 등에 막히면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평야나 바다에서만 효과가 있다는 점과 알미늄 테이프로 전파 차단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한다고 시는 설명했다. 옆면 및 상부 30cm까지 전파를 막는 것으로 파악됐다.
GPS 등 위성항법 시스템은 2만㎞ 상공에서 인공위성이 보내는 전파 강도가 휴대전화의 약 100분의 1 수준으로 약하다. 주변 기지국 인근에서 강한 출력으로 방해 전파를 송신하면 받을 때 신호가 섞여 잘못된 위치정보가 제공된다. 북한은 주로 서해5도와 가까운 지점에서 수평의 전파를 보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형선박이 안개 지역 및 야간 항해, 바다 한가운데에서 다닐 경우 뽀족한 대책이 없어 조난 당하거나 월북할 위험이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는 어장에 설치한 어구를 찾지 못한다. 해양수산부에서는 대체 가능한 기기를 설치하도록 어업인들에게 지도하고 있다.
오국현 시 수산과장은 “현재 우리나라 소형어선 항법장치는 GPS에만 의존해 북한의 전파 교란 시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며 “성능 실험에 성공하면 누구나 손쉽게 구하는 2만원대 재료로 막대한 경제적인 손실의 예방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