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의 평균 출퇴근시간이 1시간 30분으로 집계됐다. 비수도권에 비해 27.3분이 더 길었고 남성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출퇴근 시간이 길었다.
2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출퇴근시간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수도권 거주자의 평균 출퇴근시간은 90.4분으로, 비수도권의 63.1분보다 27.3분 더 길었다. 비수도권에서는 부산(78.4분), 대구(73.0분), 광주(68.0분) 순이었다.
2004년에서 2019년까지 15년 간 평균 출퇴근시간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경기도로, 17.4분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서울은 6.5분, 인천은 5.0분, 부산은 3.2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평균 출퇴근시간은 72.1분으로 2004년(65.0분)보다 10% 이상 증가했다. 60분 이상 출퇴근인구도 2004년 51.4%에서 2019년 60.8%로 9.4%포인트(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일자리와 인구가 집중된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출퇴근 시간이 길었다.
성별로는 2019년 기준 남성이 75.6분, 여성이 약 67.3분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길었다. 60분 이상 출퇴근인구 비중도 남성은 64.4%였는데 여성은 55.9%였다.
다만 성별 차이는 혼인상태별로 달랐다. 미혼인 경우 오히려 남성보다 여성이 1.2분 길었지만, 기혼집단에서는 남성이 75.6분, 여성이 63.3분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2.3분 짧았다.
손 연구위원은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임금에도 높은 유연성과 근로시간을 선호하는 경향은 다른 국가의 사례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된 바 있다”며 “만약 여성이 더 유연하고 출퇴근시간이 짧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 낮은 노동조건을 감수하는 것이라면 여성들이 왜 유연하고 직주근접성이 높은 일자리를 선호하는지 그 이유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출퇴근시간 감소를 위해 공간구조 차원에서 직주근접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병행돼야 한다”며 “일정 생활 반경 안에 원격근무와 육아를 연계하는 공유오피스의 활성화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노동시간과 가족시간 간의 균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장시간 노동 해소와 유연한 근무방식의 확대를 위해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한편 출퇴근시간에 1시간 이상이 소요되면 의학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정신건강 악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