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환등기에 놀라고 갓 쓰고 찰칵…독일 선교사가 본 110년 전 한국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4-08-12 14:42:23 수정 : 2024-08-12 14:42:2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오틸리엔 수도원 소장 한국 사진 1천874점 공개
외국인이 기록한 20세기 초 모습 주목…'겸재 화첩' 영구 대여 인연도

손주들과 함께 외출에 나선 여성은 얼굴만 남겨둔 채 머리 위로 긴 옷을 덮어썼다.

그가 입은 건 초록색 바탕에 흰 끝동을 단 장옷.

여성 홀로 찍은 사진 뒷면에는 '서울 근교 할머니, 베버 1911'이라고 적혀 있다. 지금으로부터 113년 전 한국을 찾은 외국인이 촬영한 컬러 사진이다.

우리 옷의 다채로움과 자연스러운 멋이 돋보이는 이 사진은 독일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성당을 장식한 스테인드글라스에도 담겼다.

노르베르트 베버(1870∼1956) 총 아빠스가 1911년 촬영한 사진. 왼쪽부터 유리건판, 오토크롬 방식을 활용한 사진.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제공

20세기 초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이 기록한 다양한 사진이 공개된다.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한국교회사연구소와 함께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기록 보관소(아카이브)가 소장한 한국 사진 2천77점을 조사한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펴냈다고 12일 밝혔다.

독일 바이에른주에 있는 오틸리엔 수도원은 1909년부터 한국에 수도자를 파견했다.

특히 독일 성 베네딕도회 오틸리엔 연합회의 총 원장을 지낸 노르베르트 베버(1870∼1956) 총 아빠스는 1911년과 1925년 두 차례 한국을 방문한 뒤 '고요한 아침의 나라' 책을 펴내기도 했다.

노르베르트 베버(1870∼1956) 총 아빠스가 1911년 촬영한 사진. 위는 유리건판, 아래는 오토크롬 방식을 활용한 사진.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제공

아빠스는 베네딕도회 대수도원의 수장을 뜻하는 직함이다.

오틸리엔 수도원은 2005년 경북 칠곡 왜관수도원에 '겸재 정선 화첩'을 영구 대여한 것을 시작으로 조선시대 갑옷, 식물 표본 등을 한국에 돌려준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보고서는 베버 총 아빠스와 성 베네딕도회 소속 선교사들이 촬영한 유리건판, 랜턴 슬라이드, 셀룰로이드 필름 등을 조사해 1천874점의 사진을 도록 형태로 정리했다.

1925년 촬영한 사진.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제공

공개된 사진을 보면 한복을 입고 갓을 쓴 사람 모습부터 선교사들이 운영한 학교, 명동성당, 북한산 등 당시 한국과 한국인의 생활을 볼 수 있는 모습까지 다양하다.

가장 많은 사진이 촬영된 곳은 서울(275점)이다.

1911년 촬영한 유리건판. 베버 총아빠스(가장 왼쪽) 일행과 그들의 청계동 방문을 환영하러 나온 신자 모습,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제공

1911년 2월 서울 백동수도원에 도착한 베버 총 아빠스는 천주교 관련 기관은 물론 경복궁, 동묘, 독립문, 북한산 등 한국의 문화와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곳을 찾았다고 한다.

특히, 북한산의 경우 오토크롬과 유리건판으로 총 34점의 사진을 남겼다.

함경남도 (264점), 황해도(238점), 경기도(220점) 사진도 많은데, 1925년 방문 당시 사진과 무성영화를 촬영한 원산, 영흥 지역 모습도 다양하게 남아있다.

빌렘 신부와 안중근의 형제들이 사진관에서 촬영한 사진. 앉아있는 사람이 안정근(1885∼1949), 그 뒤에 서 있는 사람이 안공근(1889∼?).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제공

1911년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진에는 외국인 선교사를 둘러싼 인파가 눈에 띈다. 그림이나 사진을 확대해서 보여주는 환등기의 밝은 불빛에 놀란 사람들이 눈을 떼지 못하는 모습이다.

베네딕도회가 세운 실업 학교인 숭공학교(崇工學校) 목공부를 촬영한 사진에는 팔짱을 낀 채 진지한 모습으로 '단체 사진'에 임한 학생들의 모습도 볼 수 있다.

여러 사진 가운데 베버 총 아빠스가 남긴 '컬러 사진' 44점은 가치가 크다.

노르베르트 베버(1870∼1956) 총 아빠스가 한국 곳곳을 다니며 촬영한 사진.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제공

오토크롬은 유리판을 지지체로 사용하는 기술로, 컬러 필름이 출시된 1932년 이전까지 주로 활용됐다. 흑백 사진과 달리 천연색을 볼 수 있는 시각 자료인 셈이다.

김정희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이사장은 "베버 총 아빠스가 기록한 내용은 일제강점기 초 한국 사회와 생활상을 입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역사 기록물"이라고 설명했다.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갓 쓴 노인, 동대문 밖 청량리에 있던 홍릉, 가사를 입은 승려, 옹기장수를 촬영한 사진.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제공

베네딕도회 소속 선교사들이 남긴 사진은 종교사 연구 자료로서도 가치가 크다.

1915년 촬영한 명동성당, 초가집 형태의 성당, 용산 예수성심신학교 등의 옛 모습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선교사들이 서울 개운사, 안성 석남사 등 여러 사찰을 촬영한 사진 또한 흥미롭다.

촬영자 및 연도 미상 유리건판.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제공

이번에 공개한 자료는 근대사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쓰일 전망이다.

박현동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장은 "독일 선교사들의 눈을 통해 기록한 우리의 문화와 생활"이라며 "관련 자료들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사진은 재단 누리집(www.overseaschf.or.kr/archive)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르세라핌 허윤진 '매력적인 눈빛'
  • 르세라핌 허윤진 '매력적인 눈빛'
  • 르세라핌 홍은채 '여신 미소'
  • 김혜수 '천사 미소'
  • 이세영 '하트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