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한말인 1897년 고종 임금이 국호를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동시에 황제로 즉위했다. 그때까지 존재하던 조선군도 대한제국군으로 개편됐다. 군주제 국가답게 고종 황제가 대한제국군의 총사령관이자 대원수였다. 그 밑에 장성급으로 대장(大將)·부장(副將)·참장(參將)이, 영관급 장교로 정령(正領)·부령(副領)·참령(參領)이, 위관급 장교로 정위(正尉)·부위(副尉)·참위(參尉)가 각각 있었다. 일제가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의 국방·외교 분야 주권을 강탈한 이후인 1907년 대한제국군은 강제로 해산당하고 만다. 독립운동가 홍충희(1878∼1946) 지사가 그때 대한제국군 부위였으니 오늘날로 치면 육군 중위에 해당하는 셈이다.
하루아침에 직장을 잃고 더 나아가 나라까지 망했으니 홍 지사가 얼마나 비분강개했을지 짐작이 간다. 그는 1919년 일어난 3·1 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이후 한반도를 떠나 중국 만주 북간도로 건너갔다. 김좌진, 김규식, 이범석 등 독립운동가들과 함께 오늘날의 지린성(省) 왕칭현(縣)에 군정부(軍政府)를 편성했다. 이는 훗날 북로군정서로 이름이 바뀌어 만주 지역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했다. 1920년 10월 청산리 대첩은 북로군정서와 홍범도 장군의 대한독립군이 힙을 합쳐 일본군을 격파한 쾌거였다. 약 6일간 이어진 전투에서 일본군은 연대장을 포함해 1200명가량의 장병이 사살됐다. 지금까지도 “독립군이 최대의 전과를 거둔 가장 빛나는 승리”라는 평가를 받는다.
홍 지사는 청산리 전투 당시 대대장 서리 겸 제2중대장으로 맹활약을 펼쳤다. 대한제국 무관학교에서 제대로 된 군사훈련을 받고 정규군 장교로 복무한 경험도 있는 홍 지사는 당시 독립군 부대의 중요한 자산이었을 것이다. 그 뒤로도 홍 지사는 소련(현 러시아) 연해주 등에서 계속 항일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다만 아쉽게도 국가보훈부는 “청산리 전투 이후 홍 지사의 활동 내용이 담긴 기록은 현재로선 발견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1977년 홍 지사가 청산리 전투에서 세운 혁혁한 전공을 근거로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광복 이듬해인 1946년 1월19일 68세를 일기로 별세한 홍 지사는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제1묘역에 안장돼 있다.
지난 13일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아주 뜻깊은 행사가 개최됐다. 홍 지사의 막내딸 홍기옥(90) 할머니가 선친의 독립운동 관련 유물 11점을 전쟁기념사업회에 기증한 것이다. 그는 “아버지가 독립운동을 하시며 가족들이 가난과 일제의 핍박에 시달렸지만 한 번도 원망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기증식 후에는 홍 할머니의 자서전 ‘나는 홍충희 지사의 딸입니다’ 출판기념회도 열렸다. “올바른 역사 전파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백승주 전쟁기념사업회장의 다짐처럼 이 귀중한 사료들이 기념관에 전시돼 순국선열의 희생을 널리 알리길 바란다. 아울러 홍 할머니는 6·25전쟁 당시 의료지원국 스웨덴·노르웨이·덴마크가 운영한 스칸디나비아 병원(현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의료지원 활동에 참여했다고 하니 참으로 부전여전(父傳女傳)이 아닐 수 없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