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노년기 ‘꿀잠’ 보약이라는데…집착하면 오히려 불면증 심해져

입력 : 2024-09-13 04:00:00 수정 : 2024-09-12 15:22:3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나이가 들수록 수면 시간이 짧아져 ‘좋은 잠’에 대한 갈망이 생기기 쉽다. 쉽게 잠들지 못하는 상황에 스트레스를 받거나 수면시간에 집착하는 것은 오히려 노년의 불면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트레스 상황이 걱정을 만들고 이로 인해 다시 잠 못 드는 밤이 반복되면서 악순환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참고용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석주 교수 연구팀은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0월 사이 불면증을 호소한 60세 이상 45명을 대상으로 노년에서 수면에 대한 기대와 걱정이 뇌파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핀 결과를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62채널 뇌파 증폭기를 이용해 연구 참가자의 뇌파(qEEG)를 확인하고, 연구 참가자의 현재 수면 상태와 태도, 불면증에 대한 스트레스 반응 등을 동시에 분석했다. 연구에 등록한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8.1세다. 

 

이들 참가자 모두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수면 장애를 호소했고, 경미한 우울증과 불안 증상을 보였다. 인지기능은 모두 정상이었다.

 

잠 못 이루는 밤에 대한 근심이 있을 뿐 주변에서 쉽게 마주하는 흔한 노년의 특징을 갖췄지만, 이들의 뇌파는 특이한 양상을 보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수면에 대한 비합리적 신념(DBAS-16)이 큰 사람은 뇌의 모든 영역에서 베타파가 증가했다. 베타파는 흔히 뇌가 깨어 있었을 때 측정된다.

 

연구 참가자들 중 충분히 잠을 못 자면 다음 날 문제가 생긴다고 믿거나 수면 환경이 완벽해야 좋은 잠을 잘 수 있다는 믿음이 비합리적 수준일 때 베타파가 과도하게 높게 관찰됐다. 잠자리에서 잠에 대한 인지적 반추, 즉 잠에 대한 걱정을 곱씹으면서 잠들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를 해소하려면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중요한데, 참가자는 이런 능력도 감소해 있다는 게 뇌파로 확인됐다. 수면 반응성 설문(FIRST)을 통해 스트레스 상황에서 수면이 얼마나 방해 받는지 조사한 결과 반응성이 높은 사람들은 뇌의 전 영역에서 델타파와 세타파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델타파와 세타파는 깊은 수면 상태에서 주로 관찰되는데 깨어 있을 때 비정상적으로 높다는 건 뇌가 비활성화되고 스트레스 대처 능력이 감소했다는 증거다.

 

김 교수는 “뇌파 측정을 통해 노년의 불면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 연구”라면서 “불면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인지행동치료 등과 같이 마음을 함께 챙겨야 비로소 완전한 숙면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진행됐고 연구 결과는 최근 ‘국제정신생리학’에 실렸다.


박윤희 기자 py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르세라핌 허윤진 '매력적인 눈빛'
  • 르세라핌 허윤진 '매력적인 눈빛'
  • 르세라핌 홍은채 '여신 미소'
  • 김혜수 '천사 미소'
  • 이세영 '하트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