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디지털 숙련도 높아도 기준 엄격해 걱정 커”
인공지능(AI)이 빠르게 도입되면서 자신의 업무 능력을 위협할 것이란 우려가 다른 나라보다 한국에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디지털 인프라와 AI 활용 역량이 뛰어나지만, 근로자들은 일터에서 자신이 AI를 대처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걱정을 하고 있다.
3일 AI 업계에 따르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세정·신영규 연구원은 미국, 독일, 한국 등 10개국의 시민들을 설문한 조사 결과 보고서를 공개했다.
한국은 ‘AI 등 신기술로 자기 업무가 위협받을 수 있겠느냐’는 조사 질문에 ‘매우 동의하거나 동의한다’는 답변이 35.4%에 달해, 이탈리아(39.1%)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AI 종주국으로 꼽히는 미국(35.0%)이었다.
반면 우려 답변율이 가장 낮았던 국가는 덴마크로 18.3%였다. 스웨덴(20.1%), 독일(21.1%), 핀란드(24.1%), 영국(28.3%) 등이 뒤를 이었다.
‘업무와 관련해 디지털 기술의 내 숙련도가 충분한가’라는 항목에서 한국은 ‘매우 동의 또는 동의’ 응답이 56.9%로, 10개국 중 가장 부정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숙련도에 대한 긍정 답변이 가장 많았던 곳은 영국과 노르웨이로 각각 71.9%, 70.2%의 답변율을 보였다.
연구진에 따르면 사람처럼 말하고 생각하는 AI 서비스인 생성 AI나 디지털 기기 사용률 등의 지표는 한국이 다른 국가들보다 훨씬 성적이 높은 편이다. 하지만 디지털 숙련도에 대한 한국인의 기준이 너무 높아 AI에 대한 불안감이 크고, 자연스레 ‘AI에 대처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진은 설명한다.
한국은 AI 규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상대적으로 강했다.
‘AI 등 노동자를 대체하는 신기술이 기업의 수익을 높일 때 규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한국은 ‘무(無)규제나 최소한의 규제가 맞다’는 응답이 32.9%에 달해 10개국 중 가장 높았다. 규제 최소화 답변이 두 번째로 많았던 국가는 독일(22.7%)이었다. 반대로 이 답변이 가장 적었던 곳은 이탈리아(9.7%)였고, 그 다음은 영국(11.6%)이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