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무협 “선진국 제약·바이오의약품 공급망 강화 중…한국도 대비해야”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4-10-31 11:15:43 수정 : 2024-10-31 11:16:3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이 제약과 바이오 관련 공급망 강화에 나서면서 우리나라도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31일 발표한 ‘주요국의 제약·바이오의약품 산업 공급망 재편 정책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주요국은 ‘보건 안보’ 확보를 위해 관련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의약품.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 관련 없음. 연합뉴스

의약품 생산은 그동안 국가 간 분업 체계로 이뤄졌다. 중국을 중심으로 중요 출발 물질 및 중간체가 출발해 중국과 인도 등에서 원료의약품(API)이 만들어지면 미국·EU 등에서 완제의약품으로 마무리되는 과정이었다. 고급 원천기술보다는 대량 생산이 필요한 원료의약품은 생산비용이 낮은 중국이나 인도가 담당하고, 연구개발 및 완제 의약품 생산은 미국과 유럽에서 이뤄지는 방식이다. 

 

그러나 펜데믹 시기 인적·물적 자원 봉쇄와 수출통제 등으로 그동안 쉽게 조달할 수 있었던 중국·인도산 원료의약품 수급이 어려움을 겪자 주요국이 안정적인 의약품 공급망 확보에 나서게 됐다. 

 

2021년 미 행정부는 반도체·배터리·핵심광물과 함께 의약품을 4대 핵심 분야로 정하고 공급망을 점검했다. 중국 등에 대한 높은 수입의존도가 높다는 결론에 따라 미국 내 생산 확대, 핵심 의약품 재고 확보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대중국 투자심사 강화와 중국 바이오 기업으로 개인정보 이전을 제한하는 ‘바이오안보법’ 추진 등 중국 관련 리스크 완화 정책도 본격화되고 있다.

 

사진=한국무역협회 제공

EU는 의약품 부족 사태 대비를 위해 지난해 말 ‘핵심 의약품 목록’을 작성하고 올해 초 민관 공동 ‘핵심의약품연합’을 결정했다. 또 바이오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바이오기술법’을 추진하고, 한국 등 주요 국가와 기술 연구, 기술이전‧규제 및 시장 접근 관련 국제협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바이오시밀러(복제약)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공급망 이슈에서 자유롭지 않다는 분석이다. 바이오시밀러 규모는 미 식품의약국(FDA) 허가 기준 세계 2위(11개), 유럽의약품청(EMA) 허가 기준 세계 1위(14개)다. 하지만 미국‧EU 등 주요 제약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원료의약품에 대한 중국 및 인도산 수입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지난해 등록원료의약품 점유율은 국내가 9.9%, 중국 22.6%, 인도 47%다. 

 

한주희 무협 연구원은 “주요국의 공급망 재편 및 대중국 견제로 우리나라 위탁개발생산(CDMO) 업계의 수혜가 기대되지만 동시에 일본, 유럽, 인도 기업과의 경쟁 심화, 원료의약품의 높은 중국산 의존도는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며 “주요국의 정책 모니터링 강화와 국내 바이오 공급망 점검, 의약품 국제협력 체계 공고화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권은비 '매력적인 손인사'
  • 권은비 '매력적인 손인사'
  • 강한나 '사랑스러운 미소'
  • 김성령 '오늘도 예쁨'
  • 이유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