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신혼부부가 97만 쌍으로 역대 최저 수준을 나타낸 가운데 특히 10쌍 중 9쌍 가까이는 대출을 끼고 결혼한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3년 신혼부부 통계'를 보면, 작년 신혼부부는 97만 4000쌍으로 전년보다 5만 8000쌍, 5.6% 줄었다.
신혼부부가 100만 쌍 밑으로 떨어진 건 처음인 데다 2015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다.
이러한 가운데 신혼부부의 87.8%는 대출이 있는 것으로도 조사됐다. 대출잔액 중앙값은 1억 7051만 원으로 전년 1억 6417만 원보다 3.9% 증가했다.
특히, 주택을 소유한 초혼 신혼부부의 대출 보유 비중은 91.3%로 무주택보다 5.9%P 높았고, 대출잔액 중앙값도 2억 707만 원으로 무주택보다 약 1.4배 많았다. 신혼부부의 주택 구매 수요가 대출규모의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한편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남성들은 주거 지원 확대를 꼽았다. 특히 수도권 거주자의 경우 주거 지원을 우선 꼽는 응답률이 높았다.
결혼시 ‘남성은 신혼집’, ‘여성은 혼수’를 마련한다는 오래된 생각과 수도권의 비싼 집값에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
앞선 9일 국민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을 설문한 결과 남성들은 ‘청년, 신혼부부의 주거 지원 확대’를 가장 많이 꼽았다.(31%)
이어 ‘육아휴직, 단축 근무 등 직장 문화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 응답이 24%로 뒤를 이었고, ‘아동수당 등 양육비 지원 확대’(14%), ‘어린이집·유치원 지원 등 보육 부담 완화’(11%) 등 순이었다.
이밖에도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확대’가 저출생 해결을 위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9%였다.
성별로 보면 ‘주거 지원 확대’를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꼽은 응답률은 남성(36%)이 여성(27%)보다 높았다. 지역별로는 서울(34%), 인천·경기(33%) 등 수도권에 거주하는 경우 주거 지원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출산을 주저하는 이유로 ‘내 집 마련’에 대한 부담이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여성은 이런 부담에서 덜하다. 여성은 ‘직장 문화 환경 개선’(31%)을 저출생 문제 해결에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봤다.
(여론조사는 국민일보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 6~7일 실시됐다.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4명을 대상으로 100% 무선전화 인터뷰 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여론조사 대상자는 통신사 제공 휴대전화 가상번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하는 방법으로 선정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응답률은 15.4%다. 성·연령·지역별 인구비례 가중(셀 가중)이 적용됐다. 이 밖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