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용왕’·‘졔쥬’ 글자 새겨진 조선 백자… 경주 동궁과 월지 출토품서 첫 확인

입력 : 2024-12-12 06:00:00 수정 : 2024-12-11 19:41:1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경주박물관, 발굴 유물 종합 연구
자기 조각 130여점서 묵서 발견
“16C까지 용왕 제사 유지된 듯”

경주 동궁과 월지(안압지)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백자에서 ‘용왕’(龍王), ‘졔쥬’라고 적힌 글자가 처음 확인됐다. 이는 신라시대에 올렸던 용왕 제사가 신라 멸망 뒤 적어도 16세기까지 월지 일대에서 유지됐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국립경주박물관은 1975~76년 발굴한 경주 동궁과 월지 출토품을 재정리해 종합 연구한 결과 조선시대 자기 조각 130여점에서 다양한 묵서를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묵서는 먹물로 쓴 글씨다.

‘용왕’ 묵서가 쓰인 백자.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새로 확인한 묵서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은 ‘용왕’ 글자다. 박물관이 수장고에 있던 자기 조각 8000여점을 조사한 결과, 16세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백자 가운데 ‘용왕’이라는 글자가 적힌 조각을 여러 점 확인했다. 글자는 대부분 밑바닥에 붙은 받침인 굽 부분에 적혀 있었다.

학계에서는 신라시대 월지에서 용왕 제사가 거행됐을 것으로 본다. 과거 동궁과 월지에서 ‘신심용왕’이라 적힌 토기가 출토됐고, 삼국사기에 용왕전이라는 관부가 있었다고 기록된 점이 근거다. 이현태 학예연구사는 “신라 멸망 뒤 월지 일대가 폐허처럼 변하면서 용왕 제사도 사라진 것으로 여겼는데, (이번 연구로) 적어도 16세기까지는 월지가 용왕과 관련한 제사 또는 의례 공간으로 활용됐다는 점이 분명해졌다”고 설명했다. 제사의 주재자를 뜻하는 ‘졔쥬’로 볼 수 있는 한글 묵서도 이번에 확인됐다.

출토품에는 또 ‘기계요’ ‘개석’ ‘십’ 등의 글자도 적혀 있었다. 기계요는 오늘날 포항시 기계면 일대의 가마에서 생산된 자기를 의미하는 글자로 추정된다. 당시 자기가 어떻게 유통됐는지 짐작할 수 있는 흔적이다. 이번에 확인한 ‘졔쥬’나 ‘산디’ 등 한글로 적힌 묵서는 당대 한글문화를 보여주는 중요 자료로 평가받는다. 이현태 연구사는 “16세기 백자의 굽 부분에 남겨진 묵서는 조선 전기 경주 지역의 생활상은 물론 월지가 갖는 의미 등을 알려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통일신라시대 월지 주변 건물에서 쓴 것으로 추정되는 조각에서도 글자가 확인됐다. 문의 모서리 부분을 마감한 띠쇠로 추정되는 금속 장식에는 ‘내간’이라는 글자가 두 번 새겨져 있었다. 박물관은 또 처마 서까래나 난간의 마구리 장식으로 추정되는 금동 판에 새겨진 글자를 새로 판독해 ‘의일사지’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글자들은 발굴 후 약 50년 만에 주목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주 '순백의 여신'
  • 김민주 '순백의 여신'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공효진 '공블리 미소'
  •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