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적 뒷받침 없이 확산된 문화가 겪는 한계도
건강한 ‘시민 연대’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
“음료를 미리 만들어두자니 식어서 버려야 하고, 손님이 와서 만들자니 대기시간이 길 것 같고…이렇게 하는 게 맞는지 계속 혼란스러웠어요.” (국회 앞 프랜차이즈 카페 점주 A씨)
“페어플레이를 안 하는 선수가 있다고 해서 스포츠를 하지 말자고 할 수 없는 것처럼, 선결제 문화가 지속될수록 관련 규칙이 자연스럽게 생길 거라고 생각합니다.” (국회 앞 개인 카페 운영자 B씨)
지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촛불집회 이후 새로운 집회 문화로 떠오른 '선결제 릴레이'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다.
선결제는 상품 수령자를 정하지 않은 채 미리 대금을 결제해 두는 방식이다. 이번 탄핵 촛불시위에서 선결제는 단순한 소비를 넘어 시민 연대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SNS를 통해 선결제된 매장이 알려지면서, 시위 참여자들은 이미 결제된 음료와 간식을 무료로 나누어 받았다.
이 과정에서 선결제는 기부 릴레이처럼 확산되며 많은 관심을 모았다. 참여 범위는 국회 앞에 머물지 않고, 해외와 지방 거주자까지 포괄했다.
유명 연예인 아이유와 뉴진스, 정치인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 등도 동참해 선결제의 사회적 파급력을 더했다.
큰 주목을 받은 만큼, 시행 초기의 혼란도 피할 수 없었다. 지난 14일 탄핵 촛불시위를 기점으로 국회 인근 가게에 선결제 주문이 몰리며 일부 부작용이 발생했다.
가장 큰 문제는 선결제와 관련된 신뢰 관계가 흔들린 점이다. SNS에서는 선결제 물량이 남았음에도 소진됐다고 안내한 사례, 선결제 물량을 당일에 사용해야 한다는 자의적 규정, 그리고 일반 고객과의 차별 응대 등 불만이 제기됐다.
한 시민은 "선결제된 주문이 배달 주문 때문에 계속 밀렸다"며 "결국 집회가 끝날 때까지 음료를 받지 못하고 떠났다"고 경험담을 적었다. 또 다른 이는 선결제 손님이 가게 측으로부터 마치 무료 급식을 받는 것처럼 무례한 대우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국회 인근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업주들은 선결제 문화에 미숙한 대응으로 혼란을 겪었다고 고백했다. 개인 카페 운영자는 "기존 업무에 더해 선결제 물량까지 소화해야 하는 상황에서 추가금을 내고 다른 메뉴를 요구하는 등 다양한 변수에 대비할 매뉴얼이 없었다"고 말했다.
프랜차이즈 카페 점주는 "주문량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인력 배치나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고 전했다.
본래 뇌물성 접대 문화에서 비롯된 선결제는 이번 촛불집회를 계기로 공익적 목적의 문화로 전환됐다. 그러나 선결제 문화가 건강하게 정착하려면 사회적 합의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선결제 문화의 긍정적인 면모도 부각됐다. 국회 앞 선결제 지도 '시위도 밥먹고'를 제작한 X 이용자 'to***'는 "여러분의 선의가 침체된 상권을 살리고 많은 이들의 추위를 덜었다"며 감사를 표했다. 그는 "부정적인 일에 마음 쓰며 지치지 말자. 선의와 연대를 믿고 촛불을 오래도록 밝히자"고 독려했다.
한편 이번 탄핵 촛불집회에서 주목받은 영유아 지원 '키즈버스'는 남은 후원금을 활용해 헌법재판소 인근 광화문 집회에 참여할 방법을 모색 중이다. 운영자는 "광화문에서는 버스 주차가 어려운 만큼 새로운 지원 방안을 찾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선결제 릴레이는 연대 의식의 힘을 보여주는 동시에, 제도적 뒷받침 없이 확산된 문화가 겪는 한계를 드러냈다. 시행착오를 거친 이 문화가 건강한 시민 연대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그 미래가 주목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