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전면 등장해 일정기간 역할하다
새로운 도시에 수도 자리 내어주기도
세계 최대 도시 뉴욕은 美 수도 아냐
남아공, 입법·행정·사법 수도 따로 존재
30개국의 수도 통해 세계사 흐름 분석
세계사를 만든 30개 수도 이야기 - 언어학자와 떠나는 매력적인 역사 기행/ 김동섭/ 미래의창/ 2만2000원
“‘천사의 도시, 위대한 도시, 영원한 보석의 도시, 인드라 신이 지켜주는 난공불락의 도시, 아홉 개의 고귀한 보석을 지닌 장대한 세계의 수도, 환생한 신이 다스리는 하늘 위의 땅의 집을 닮은 왕궁으로 가득한 기쁨의 도시, 인드라가 내리고 비슈바카르마가 세운 도시.’
놀랍다. 외울 수 없을 만큼 긴 이 이름이 태국의 수도 방콕의 정식 명칭이다. 인도-유럽어에 속하는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를 옮긴 것으로, 이름을 읽어 보면 방콕보다 더 축복받은 도시가 어디 있겠는가라는 생각이 든다. 화려한 수식어 중에서 인도와 힌두 신화 속 신 ‘인드라’와 ‘비슈바카르마’의 이름도 보인다.”(260쪽)
프랑스 파리나 영국 런던처럼 고대부터 중요한 역할을 했던 수도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캐나다는 유명한 대도시 토론토와 몬트리올이 아닌, 작은 도시 오타와를 수도로 결정했다. 프랑스어권과 영어권 지역의 경쟁과 갈등 탓에 200번이 넘는 투표를 거쳐 완충 지대인 작은 도시를 수도로 삼은 것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는 입법, 행정, 사법의 수도가 각각 따로 존재한다. 세계 최대의 도시 뉴욕은 미국의 수도가 아니며, 브라질의 최대 도시 상파울루도 마찬가지다.
수도는 계속해서 변화한다. 세계를 평정했던 몽골 제국의 옛 수도 카라코룸에는 지금 빈터만 남아 있다. 최후의 기독교 보루라고 불렸던 1000년의 수도 콘스탄티노플은 이제 더 이상 한 나라의 수도가 아니다. 수도는 문명의 탄생부터 지금까지, 역사의 전면에 등장해 일정 기간 역할을 하다가 새로운 도시에 자리를 내어주었다. 왕의 거처와 신전이 있는 도시를 수도라고 볼 때, 고대 이집트 왕국의 수도는 멤피스에서 테베로 옮겨갔고,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의 시대에 오면, 알렉산드리아가 명실상부한 이집트 왕국의 수도가 된다. 현재 이집트의 수도 카이로가 수도가 된 것은 서기 7세기 무렵에 불과하다.
각양각색의 모습으로 다채로운 이야기를 품은 수도에는 세계사의 면면이 담겨 있다. 파리는 프랑스의 중심지였으나 왕들이 여러 도시를 순회했기 때문에 ‘왕이 없는 수도’였다. 반면 여러 개의 제후국으로 분열된 신성로마제국은 ‘수도가 없는 제국’이었다. 러시아 제국은 모스크바 귀족들의 알력 싸움에서 벗어나기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수도를 옮겼다. 모스크바는 이미 사라진 모스크바 공국의 수도였고, 상트페테르부르크는 새로 탄생한 러시아 제국의 수도였다. 신·구 수도는 이처럼 탄생 근원이 달랐다. 모스크바 시민들에게 상트페테르부르크는 하루아침에 건설된 뿌리 없는 도시로 여겨졌다. 중세 카스티야 왕국과 아라곤 왕국이 연합하면서 탄생한 스페인에서는 지금도 여전히 카스티야의 수도인 마드리드와 아라곤의 수도인 바르셀로나가 경쟁하고 있다. 바르셀로나 올림픽 기간 스페인 국기보다 카탈루냐 주기가 더 많이 보였고, 마라톤 경기가 열린 시내에서도 시민들은 카탈루냐 주기를 흔들며 선수들을 응원했다. 뉴욕은 미국의 수도가 되기 위해 요새를 철거하는 등 갖가지 시도를 했지만, 경쟁에서 탈락했다.
책은 지금의 수도뿐 아니라 과거의 수도까지 전방위로 조명하면서 세계 역사를 입체적으로 들려준다. 인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제국의 수도에서 시작해, 중세의 주무대 유럽과 그 이전부터 세계를 이끌었던 아시아와 중동 그리고 새로운 권력의 중심지 신대륙의 수도까지, 30개 수도 이야기를 세계사의 흐름에 따라 펼쳐 보인다.
“언어는 언제나 흔적을 남긴다.”
어원 전문 언어학자이자, 탁월한 역사 스토리텔러인 저자는 남다른 시선으로 지명의 어원에 담긴 흥미로운 이야기를 풀어낸다.
프랑스 파리의 이름은 켈트족의 신화에 나오는 ‘마법의 솥단지’에서 유래했다.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는 ‘사바’라는 인어의 이름에서 나왔다. 바르샤바 광장에는 지금도 도시를 지키는 인어상이 있다. 스위스 베른, 독일 베를린의 지명은 곰을 의미하는 게르만어 ‘ber’에서 유래했다. 지금도 도시의 문장에는 곰 상징물이 들어가 있다.
“아르헨티나(Argentina)는 ‘은의 나라’라는 뜻이다. 라틴어로 ‘은’을 의미하는 ‘argentum’에서 나왔다. 화학에서 은의 원소 기호는 Ag이다. 아르헨티나가 은의 나라로 불리게 된 기원은 원주민들의 전설에서 찾을 수 있다. 신대륙을 발견한 스페인인들은 북쪽으로는 북미의 캘리포니아까지 북상했고, 남쪽으로는 멕시코를 거점으로 중남미를 지나 페루까지 내려갔다. 은의 나라와 관련된 전설은 페루 탐험을 위해 떠났던 스페인 탐험대로부터 나왔다. 페루로 떠났던 스페인 범선이 도중에 난파하여 브라질의 산타카타리나섬에 상륙했다. 알렉시오 가르시아라는 선원은 원주민으로부터 엄청난 귀금속이 있는 산에 대한 전설을 듣는다. 가르시아는 이 말을 듣고 탐험을 포기하고, 동료들과 함께 원주민들을 대동하여 전설의 산을 찾아 떠난다. 그 산의 이름은 스페인어로 ‘시에라 데 라 플라타(Sierra de la Plata·은의 산)’였다.”(380쪽)
이처럼 언어는 흔적을 남긴다. 지명에는 그 지역의 역사와 문화가 담겨 있다. 저자는 ‘언어’와 ‘수도’라는 씨줄과 날줄을 엮어 더욱 신선한 세계사 이야기를 빚어낸다. 한 도시가 어떻게 수도가 되었는지, 또 어떻게 수도의 자리를 내어주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 어떤 갈등과 화합이 있었는지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엮어놓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