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기계문명의 기하학적 미감으로 가꿔낸 ‘탐닉의 정원’ [박미란의 속닥이는 그림들]

, 박미란의 속닥이는 그림들

입력 : 2025-01-13 21:14:40 수정 : 2025-01-13 21:14:3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김병호의 기계정원: 역방향의 컴포지션

금속 모듈을 재료 삼아 빚어낸 조형들
면에서 선으로, 더 커다란 점으로 확장

세포와 같은 조형의 최소 단위들 연결
인위적 공정으로 유기적 생명체 구현

이차원 도면서 삼차원 입체가 된 조각
물신주의적 사회의 양면적 초상 그려
경직된 소재로 발휘한 유연한 심미안

금속 정원수들이 장소 안에 들어선다. 유일한 하나이자 복제된 여럿으로서, 각자의 주형에서 태어난 조각은 기계문명의 은유이자 대량생산의 표상이다. 김병호의 기계정원은 조형의 기초 요소를 암시하는 금속 모듈을 재료 삼아 가꾸어진다. 문명사회의 질서정연한 풍경 속에서 구현 가능한 기하학적 미감을 탐구하는 일이다.

정원이란 인간이 길들일 수 있는 규모의 작은 우주다. 작가는 우거진 숲을 다듬어 인공 정원을 가꾸듯 기계문명 특유의 조형적 가치를 탐닉한다. 시야에 가장 먼저 포착되는 것은 빼곡히 돋아난 빛점의 집합이다. 주위의 광원을 반사하는 찬란한 금속 타원구들이 보는 자의 주의를 사로잡는 탓이다. 시선은 총체적 전경으로부터 미시적 구조를 향하여 나아간다. 부풀어 오른 구체에서 출발하여 그것을 지탱하는 선형의 기둥을 지나, 원자재인 금속의 표면을 가늠하는 눈길의 경로를 따라서다. 눈부신 전경 가운데 선과 면의 요소는 부피의 그림자 뒤로 감추어진다.

2월28일까지 서울 종로구 원서동 아라리오갤러리에서 열리는 김병호 개인전 ‘탐닉의 정원’ 전시 전경. 왼쪽부터 김병호의 ‘57개의 수직정원’(2024)과 ‘두 개의 충돌’(2024), 원경에는 ‘수직정원’ 연작 5점이 보인다. 아라리오갤러리 제공

◆탐미적 형태

수직 또는 수평의 정원으로 명명된 일련의 조형을 거꾸로 보자. 재단된 종이 위 드로잉과 설계도로부터 정제된 금속의 단면에 이르기까지, 김병호의 기계정원 속 입체는 모두 규격화된 평면으로부터 일어선다. 납작한 철재는 공간을 가로지르는 원통형 획으로서 가공되고, 그 뚜렷한 금속 선의 끝자락마다 둥근 구의 형상이 숨처럼 차오른다. 삼차원 공간 안에 구성의 미학을 펼치고자 하는 형상은 면에서 선으로, 그리고 더욱 커다란 점으로 나아가며 확장된 부피를 획득한다.

낱낱의 모듈은 결합의 방식과 자세의 균형을 달리하며 매번 다른 기하학적 형상이 된다. ‘수평정원’(2018) 속 조형의 얼개를 이루는 직선들이 선형적인 도시 풍경을 상징하는 도상이라면, 그로부터 불거져 나온 덩어리들은 비선형의 변종이자 현혹적 미감을 추구하는 욕망의 발현이다. 방사형의 은빛 조각 ‘57개의 수직정원’(2024)에 촘촘히 맺힌 금속 타원구들, 이른바 문명의 혹들은 곧은 펜 선이 닿은 마지막 자리에 짙은 웅덩이가 자연스레 고이듯 직선과 곡선이 유기적으로 융합하며 부풀어 오른 모양새를 띤다.

규격화된 철재는 곡선을 품은 형태로 재가공됨에 따라 생산 체계 속 부품으로서의 기능성을 잃는 한편 새로운 구조 내에서 작동하는 미적 가치를 획득한다. 원만한 곡률의 융통성은 경직된 금속으로 하여금 보다 풍요로운 입체가 되도록 한다. 평평한 단면은 반추형의 부피로 팽창하고, 반듯한 직선은 유연한 호의 형태로 휘어진다. 높은 곡률의 형태일수록 자신이 속한 현재의 풍경을 광활하게 머금는다.

◆역학적 관계

양 끝자락에 둥근 타원구를 묵직하게 머금은 한 쌍의 모듈 ‘두 개의 충돌’(2024)은 바닥으로부터 낮게 떠오른 회전형 기계다. 하나의 몸은 스테인리스 스틸의 은빛을, 또 다른 하나는 흑연 같은 먹빛 피막의 아스라한 광택을 내비치는 두 형태가 각각 정방향과 역방향의 원형 궤도를 따라 유영한다. 상이한 광물의 빛깔을 띤 쌍생아들은 낮과 밤이 끝없이 서로를 물들이듯 상대의 곁에 다가서다 물러나기를 반복한다.

영원히 맞닿지 않을 몸짓을 바라보며 하나의 중력장 위에 놓인 두 개의 은하를 상상한다. 거대한 마찰에 의하여 수없이 부서지고 마모된 이후에야 비로소 서로 간의 균형을 찾은 매끈한 행성들의 역학을 말이다. 작품 내에서 충돌하는 것은 둘 사이의 상상된 중력이다. 정밀한 기계적 구조에 의하여 양방향으로 작동하는 힘의 끈끈한 긴장이 분리된 형태들을 하나의 회집체로서 묶어 놓는다. 정교한 짜임새의 우주 공간에 깃든 존재들의 관계망을 떠올린다. 셀 수 없이 많은 점과 선, 면이 교차하는 거대한 설계도를 상상하는 것이다.

벽면에 걸린 청동거울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2024)와 바닥면에 놓인 ‘정원의 단면 ― 2S.MB1’(2024). 김병호 개인전 ‘탐닉의 정원’ 전시 전경.

김병호의 조형 언어는 기계문명과 자연세계의 구성 원리를 섬세하게 중첩시킨다. 인위적 공정에 의하여 유기적으로 연결된 조형의 최소 단위들은 세포가 생명체를 구성하듯 형상이 되고, 개인이 모여 집단을 이루듯 복합적 풍경을 구축한다. 기계정원 속 조경수들은 설계도면 바깥에 놓인 현실의 장소와 상호적 관계를 구축하는 입체로서 거듭난다. 저마다의 방식으로 현실의 물리적 공간과 관계 맺으면서다.

◆삼차원의 공간구성: 양가적 시선

곡면의 기하학적 구성을 펼쳐 놓은 ‘정원의 단면’(2024)은 면의 요소를 전면에 내세운다. 두께를 지닌 금속 판을 각기 다른 곡률로 구부려 정교하게 결합한 조각의 몸체는 장소 안에 우뚝 서거나 가로누운 자세를 취함으로써 유기적 자연의 풍경을 은유한다. 검은 피막을 입은 잎사귀 형태의 단면들이 조형성을 강조하는 한편, 매끈하게 연마된 윤곽부의 가느다란 선이 본연의 재질을 은연중 내비친다. 형태의 능선을 타고 흐르는 조명의 빛은 가공된 재단 면 모서리에 이를 때마다 섬광처럼 가파르게 선명해진다.

‘아홉 번의 관찰’(2024)에서 원형의 모듈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열된다. 측면부 모서리를 정면에 내세워 원추형으로 부푼 두께를 드러낸 채다. 크고 작은 아홉 개의 눈동자가 서로를 투영하며 각기 다른 반사광을 만들어 낸다. 나오는 동선에서 투박한 만듦새의 청동거울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2024)를 마주한다. 오래된 청동의 녹슨 요철을 닦아낸 부분은 가공과 재가공 전후의 시간대에 놓인 금속의 중간적 상태를 드러낸다. 말끔한 평면이 되도록 인위적으로 매만진 중심부만이 현재를 거울처럼 비추어낸다. 그 평탄함의 광택으로부터 기계문명 시대의 가공된 분재들을 연상한다.

기계정원을 위한 설계에는 전복된 관점에서의 가설이 선행된다. 외양적 표피가 언제나 내재된 구조에 앞서 드러나기 때문이다. 이차원의 도면으로부터 삼차원의 입체를 향하여 차오르는 김병호의 조각은 물신주의적 사회의 양면적 초상이다. 황홀하게 빛나는 수백의 점, 문명의 혹이 드러내는 탐미적 욕망은 냉소와 찬미의 태도를 동시에 표방하는 까닭에 양가적이다. 외피 아래 구조를 역방향의 순서로 탐색한다. 기계정원의 유려한 정경, 그 세속적 아름다움의 불가피한 이중성이 비롯된 경로를 추적하는 시선으로서다. 모든 가치는 현재의 지평을 근거 삼아 일어선다. 경직된 소재로부터 유연한 심미안을 발휘하고자 하는 김병호의 조각들이 각자의 빛나는 부피를 내비친다. 가공된 세계의 특수한 미학을 설득하는 동시대성의 기하학적 투영체로서 말이다.


박미란 큐레이터, 미술이론 및 비평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박지현 ‘깜찍한 손하트’
  • 박지현 ‘깜찍한 손하트’
  • 정혜성 '심쿵 눈빛'
  • 르세라핌 홍은채 '여신 미소'
  • 르세라핌 허윤진 '매력적인 눈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