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시장 진출 교두보 역할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1/20/20250120519275.jpg)
국산 K-9 자주포(사진)의 베트남 수출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20일 정부와 방산업계에 따르면 한국과 베트남은 한국산 K-9 자주포의 베트남 수출을 위한 협상을 마무리하는 단계에 있다. 수출 규모는 K-9 자주포 20대로서 금액으로는 3억달러(약 4300억원)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K-9의 베트남 수출은 공산주의 국가에 대한 첫 방산수출이자 동남아시아 지역 진출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베트남은 과거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한국군과 싸웠다.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도입한 지금도 공산당 유일 정당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베트남은 한국이 퇴역 초계함을 무상으로 공여한 적은 있지만 무기를 공개적으로 판매한 사례는 없다.
다만 미국과 중국의 전략 경쟁이 격화하면서 미국산 T-6C 훈련기가 베트남에 팔리는 등 국제정세에 변화가 이뤄졌다. 러시아산 무기를 주로 쓰던 베트남이 미국 등 서방의 무기를 도입하기 시작하면서 K-9도 판매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제작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K-9을 베트남에 수출하기 위해 오래전부터 노력했지만, 152㎜ 포탄을 쓰는 베트남군과 155㎜ 포탄을 사용하는 K-9과의 차이점에 따른 탄약 보급과 기술적 문제 등으로 실현 여부가 불투명했다. 하지만 베트남 측이 한국군용 K-9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같은 문제도 해소된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이 K-9을 자주포를 도입하면 한국을 포함해 세계 11번째로 ‘K-9 유저 클럽’ 국가가 된다. 또한 튀르키예, 폴란드, 핀란드, 에스토니아, 노르웨이, 이집트, 인도, 호주, 루마니아 등 유럽과 오세아니아 및 아프리카를 누비는 K-9이 동남아로 영역을 확장하는 효과가 있다. 베트남 정부는 2023년 2월 판반장 국방부 장관이 방한해 한국군 지상전력의 핵심인 육군 제7기동군단에서 K-9 살펴보고 제작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으로부터 브리핑을 듣는 등 한국산 무기체계에 관심을 보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