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전국 4개 시·군에 클러스터 조성도
앞으로 5년 안에 전국에 있는 온실농장 35%가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된 스마트농장으로 전환된다. 밭작물 주산지 10곳 중 2곳에도 스마트 농업기술이 적용되고, ‘K스마트팜 표준 모델’도 마련된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제1차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2025∼2029)’을 보면 정부는 이상기후와 농촌 노동력 감소 등을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 농업을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 온실 5만5000㏊의 16% 수준인 스마트 온실 비율을 2029년까지 35%로 끌어올린다. 또 기계화가 진행 중인 주요 밭작물 주산지 재배면적의 20%에 스마트농업 기술 한 개 이상을 적용한다.
관련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스마트 농산업 선도기업 120곳을 육성하고, 스마트팜 수출을 2029년까지 9억달러(약 1조3000억원)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스마트 농업과 연관 산업이 집적화된 클러스터 조성에 나선다. 올해 전국 4개 시·군에 청년 장기 임대형 스마트팜과 연계한 스마트농업 육성지구를 만들 예정이다. 배추와 사과 등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시범지구를 교육·기술 실증 기능을 갖춘 거점단지로 전환하기 위한 계획을 마련한다.
이상기후에 대응해 밭농업 기계화를 추진 중인 8개 작물과 5대 과수 품목 주산지를 중심으로 스마트농업 기술을 보급하고 교육, 컨설팅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스마트 농업인을 육성하기 위한 전문 교육기관을 올해 네 곳으로 두 곳 더 늘린다. 또 전문적인 교육과 컨설팅 능력을 갖춘 ‘스마트농업관리사 자격제도’를 도입한다.
K스마트팜 표준모델 구축도 추진된다. 스마트 온실과 수직농장 표준모델을 만들고 호환성과 수출 경쟁력을 강화한다. 에너지 효율성 개선과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위한 연구개발(R&D), 실증, 현장적용도 지원한다.
드론, 로봇 등 스마트농업 기술을 고도화하고 자율주행 농기계 보급에 필요한 검정기준과 융자 제도 등을 정비한다. 이 밖에 우수기업을 선정해 자금과 투자유치 등을 지원하고 우수 농업회사법인은 기자재·서비스 생산 등으로 사업 범위 확대를 허용하기로 했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첨단기술을 매개로 새로운 산업과 융합하고 범위를 확장하면 농업은 성장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라며 “정부는 스마트농업과 연관 산업이 동반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스마트 농산업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