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중국에 정보 유출될라”…美·유럽, ‘딥시크’ 단속 나서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1-31 22:20:00 수정 : 2025-01-31 19:32:23

인쇄 메일 url 공유 - +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미국의 제재를 뚫고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을 내놓은 가운데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정보 유출을 이유로 접속을 막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30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아르미스, 넷스코프 등 사이버 보안전문업체에 민간 기업과 정부 기관들로부터 딥시크 접속을 막아달라는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 아르미스 고객의 70%, 넷스코프 고객의 52%가 딥시크 접속 제한을 요청한 상태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아르미스의 나디르 이즈라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수백개의 기업, 특히 정부와 연관된 기업들이 중국 정부로의 잠재적 데이터 유출 가능성과 개인정보 보호 취약성을 우려해 직원들의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딥시크는 개인정보 보호 약관에서 중국 내 서버에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한다고 명시하고 있고, 이와 관련한 분쟁은 중국 정부 법률의 적용을 받는다고 덧붙였기 때문이다.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에 따르면 딥시크는 AI 모델 학습을 위해 이용자들이 입력한 키보드 패턴이나 텍스트, 오디오, 파일, 피드백, 채팅 기록과 다른 콘텐츠를 수집하고 회사 재량에 따라 해당 정보를 법 집행기관 및 공공 기관과 공유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미국 의회도 의회 자산인 장치에서 딥시크 기능을 제한했으며 직원들에게도 공용 전화와 컴퓨터 등에 딥시크를 설치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 미 정치 매체 폴리티코에 따르면 미국 하원은 소속 의원들과 직원들에게 현재 딥시크가 사용하는 기술을 검토 중이라며 결론을 내릴 때까지 하원에서 사용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공지했다. “위협 행위자들이 악성 소프트웨어를 퍼뜨리고 기기를 감염시키기 위해 이미 딥시크를 악용하기 시작했다”는 설명이다. 

 

미국 상무부도 딥시크가 AI 개발에 중국 수출이 금지된 미국산 반도체를 사용하는지 조사에 들어갔다. 딥시크가 미국 빅테크들이 들이는 연구비의 10% 정도만 들여 고성능 AI ‘알원’(R1)을 공개해 실리콘밸리를 강타한 상황에서 나온 조치다. 미국산 첨단 AI 반도체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등지를 통해 중국에 조직적으로 밀수된 정황이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다. 상무부의 수출통제에 대한 위반 사실이 확인되면 밀수 관련자들이 제재를 받고 규제가 대폭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유럽 각국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29일부터 개인정보 보호 기관인 가란테(Garante)는 개인 정보 사용의 불투명성을 들어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다. 이와 함께 가란테는 딥시크 측에 사용자 데이터 처리 방식에 대한 질의서를 발송했다. 이 기관은 어떤 개인 정보를 어디에서 수집해 어떻게 이용하는지, EU 정보보호 규제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하고 있는지, 이같은 데이터가 중국 내 서버에 저장되는지 등을 질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 정부는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고 폴리티코 유럽판 등 외신이 전했다. 피터 카일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은 폴리티코 인터뷰에서 “딥시크의 규모와 영향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고 올바른 시스템을 거치도록 할 것”이라며 “신기술, 신제품이 세계 경제에 나타나는 건 흔한 일이고 영국민을 안심시키고 싶다. 다른 신기술에 대해서도 그렇듯, 우리 시스템이 이것을 살펴보고 애초에 안전한지 확인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폴리티코는 영국 정부가 딥시크에 대해 정확히 어떤 성격의 조사를 한다는 것인지 불분명하나 통신 관련 정보기관인 정보통신본부(GCHQ) 산하 국가사이버보안센터가 기술적 위험 요인을 살펴보는 것으로 알려진다고 전했다.

 

프랑스 국가정보자유위원회(CNIL)도 데이터 보호 측면에 관한 위험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딥시크 측에 시스템 작동 방식 등에 대해 질의할 예정이라고 이날 밝혔다.

 

독일 매체 차이트는 독일 당국이 딥시크 앱에 대한 규제 조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일랜드 데이터보호위원회(DPC)는 딥시크에 아일랜드 사용자 관련 데이터 처리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이 서한에서 유럽연합(EU) 개인정보 관련법 위반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 통신은 아일랜드 당국에 딥시크를 조사할 권한이 있는지 불분명하지만 미국 빅테크 기업의 유럽 본부가 있는 아일랜드의 DPC가 이들 기업의 EU 정보보호 규정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해왔다고 지적했다.


권이선 기자 2s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브 장원영 '깜찍한 브이'
  • 아이브 장원영 '깜찍한 브이'
  • 아이브 안유진 '심쿵 미소'
  • 블랙핑크 지수 '여신이 따로 없네'
  • 김혜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