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은 재임 시절 윤석열 검사를 검찰총장으로 발탁한 것에 대해 “두고두고 후회했다”며 “국민께 송구스럽다”고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10일 공개된 한겨레신문과의 인터뷰에서 “(12∙3 비상계엄 선포가) 처음에는 믿어지지 않아 유튜브 가짜뉴스인가 그런 생각까지 했다”며 “윤석열정부 탄생에 문재인정부 사람들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물론 그 중 내가 제일 큰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2019년 윤석열 서울지검장을 검찰총장으로 발탁한 과정과 관련해 “당시에 찬반 의견이 나뉘었는데 비율로 따지면 (윤석열 검찰총장 임명을) 지지하고 찬성하는 의견이 훨씬 많았고, 반대하는 의견은 소수였다”며 “반대하는 사람들은 윤석열 후보자에 대해 욱하기를 잘하는 성격이고 자기 제어를 못할 때가 많이 있다, 그리고 윤석열 사단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자기 사람들을 아주 챙기는 스타일이라고 했다. 반대가 수는 작아도 귀담아들을 만한 내용이라 고민이 됐다”고 밝혔다.
이어 “최종적으로 2명 후보에 오른 다른 한 분은 조국 수석과 인간적인 관계도 나쁘지 않고 소통도 꽤 잘 되는 관계였는데 유감스럽게도 검사로서 검찰 개혁을 찬성할 수 없다고 분명한 반대 입장을 말했다”며 “다른 한 사람인 윤석열은 소통은 좀 불편할 수 있지만 검찰 개혁에 대해 긍정적으로 말해서 당시에 나하고 조국 수석은 검찰 개혁이라는데 너무 꽂혀 있었달까, 그래서 윤 후보자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 순간이 두고두고 후회가 됐다”며 “정권을 넘겨줬다는 자괴감이 아주 컸다. 이번에 계엄∙탄핵 사태가 나니까 밤에 잠을 잘 수 없을 정도로 국민에게 송구한 마음이었다”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에 대해 “가장 아픈 손가락”이라며 “한 없이 미안하다”고 밝혔다.
이어 “조국 수석이 법무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을 때, 조국 후보자 일가에 대한 (윤석열 검찰총장의) 수사는 명백히 조국 수석이 주도했던 검찰 개혁에 대한 보복이고 발목잡기”라며 “그 바람에 조국 장관 후보자 가족들은 이른바 풍비박산이 났다”고 주장했다.
또 “(윤 대통령이) 야당을 반국가 세력이라며 일거에 척결하겠다는 걸 듣고서 윤 대통령이 정말 망상의 병이 깊다는 생각을 했다”며 “밤에 잠을 잘 수가 없을 정도로 국민에게 송구한 마음”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심판을 보면) 그저 어떻게 연명해보고자 하는 태도가 너무 추하고 창피하고 서글프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관련해선 “(지난 대선에서) 우리 쪽 후보(이 대표)가 비전이나 정책 능력, 대통령으로서 자질이 훨씬 출중하기 때문에 쉽게 이길 것이라 생각했는데 극심한 네거티브 선거로 흘러가버린 게 패인이었다”며 “이 대표에게 꼭 해주고 싶은 이야기는, 민주당이 이기기 위해선 반드시 민주당이 좀 더 포용하고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비명계의) 어떤 활동이나 경쟁에 대해서 자꾸 민주당 내 일각에서 그것을 분열로 비판하고 밀쳐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힘을 모으며 이끌어가주길 당부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지난해 총선에서 ‘친명횡재, 비명횡사’ 공천을 주도하며 친문(친문재인)계 핵심 멤버를 대거 척살한 바 있다. 친노∙친문이 주류였던 민주당은 이를 계기로 친명(친이재명) 일극 체제로 체질이 바뀌었다.
‘문재인의 적자’로 불리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최근 이에 대해 “치욕스럽게 당을 떠난 분들에게 이 대표가 사과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문 전 대통령이 조기 대선 분위기가 짙어진 시점에 퇴임 후 처음으로 언론과 인터뷰에 나선 데는 친문 적자들의 대권 행보를 지원하려는 의중이 깔린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