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도 美 제철소 건설 적극 검토
피해 최소화할 정부 대응 시급 목소리
경기 침체 장기화와 중국발 공급 과잉에 이어 미국의 25% 추가 관세 부과까지 더해지면서 국내 철강 업계에서 고사 위기감이 감지된다. 업계는 다른 거대시장에서 신규 판로를 개척해 대미 수출 감소 피해를 보전하거나 미국 현지 투자를 늘리는 등의 방안을 다각도로 강구 중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그룹은 인도를 신규 시장으로 점찍었다. 지난해 10월 포스코그룹은 인도 1위 철강사 JSW그룹과 손잡고 현지에 일관(一貫)제철소를 합작 건설하자는 내용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10/20250210516166.jpg)
현대제철은 지난달 진행된 콘퍼런스콜에서 “미국 제철소 건설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확실한 투자 의사 결정이 나오면 공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현대제철은 이와 함께 전기차 전용 강판 가공센터인 미국 조지아 스틸서비스센터(SSC)를 최근 가동했고, 인도서도 SSC를 건설 중이다.
회사 관계자는 “아직 미국의 행정명령 공표가 없는 상황이라 구체적인 내용이 나올 때까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예정”이라면서도 “현지 공장 신설과 새로운 판로 개척 등 다양한 방안을 마련 중이다”고 말했다.
부동산 등 장기화한 국내 철강 수요 산업 침체와 중국 저가 철강제품 밀어내기에 이어 미국 관세 폭탄 탓에 확산한 불확실성을 한국 철강사들이 무난히 헤쳐 나갈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악재가 워낙 겹겹이 쌓여서다. 특히 이번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로 중국의 값싼 철강재가 미국을 제외한 해외 시장에 대거 풀릴 경우 국내 철강사 제품의 수출이 입을 타격은 가늠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10/20250210516280.jpg)
업계의 한 관계자는 “미국 수입 철강의 관세 부과로 국내 생산 철강의 미국 판매 어려움과 더불어, 미국 판매가 막힌 중국 철강이 다른 해외 시장으로 판로를 돌림에 따라 국내 철강의 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로의 판매에도 악영향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피해 최소화를 위한 선제적이면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인 2018년 3월 미국은 국가 안보상 이유를 들며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철강제품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당시 한국 정부는 발 빠른 대응으로 미국과 협상을 진행해 철강 관세를 면제받는 대신 수출 물량을 제한받는 쿼터제를 수용했다. 2015∼2017년 평균 수출량(383만t)의 70%(263만t)까지는 무관세로 수출했고, 그 이상은 25% 관세를 부과받은 것이다. 그 결과 연간 340만t 수준이던 우리나라 대미 철강재 수출량은 연간 240만~270만t으로 급감했지만 나름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