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자기 직전까지 폰 붙잡고 있는 당신…먼 간판 글씨 보이던가요?” [수민이가 궁금해요]

, 수민이가 궁금해요 , 세계뉴스룸

입력 : 2025-02-22 21:00:00 수정 : 2025-02-22 18:50:1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대 의대 안과학교실 교수팀 발표

휴대폰 1시간 더 볼 때마다 근시 발병 위험 21% ↑
디지털기기 이용 1∼4시간 사이에 위험도 확 올라

평균 디지털 스크린 타임 증가에 근시 유병률도 ↑
연구진 “2050년엔 세계 인구 절반이 근시 앓을 수도
황반변성·망막박리·녹내장 등 질환 세계적 증가 시사”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TV 등 디지털 화면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하루 1시간 늘어날 때마다 근시 발병 위험이 21%씩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 디지털 화면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하루 1시간 늘어날 때마다 근시 발병 위험이 21%씩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서울대 의대 안과학교실 김영국 교수팀은 22일 미국의학협회 저널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33만여 명이 참여한 45개 연구에 대한 체계적 검토와 메타분석을 통해 디지털 스크린 사용 시간과 근시 발병률 증가 간 연관성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근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고 2050년에는 세계 인구의 거의 절반이 근시를 앓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며 “이는 근시 발병 시기가 일러지고 진행 속도가 빨라지며 안정화 시 근시 중증도가 심해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이는 황반변성, 망막박리, 녹내장 등 시력을 위협하는 근시 관련 질환의 전 세계적 부담이 급증할 것임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 디지털 화면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하루 1시간 늘어날 때마다 근시 발병 위험이 21%씩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 디지털 화면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하루 1시간 늘어날 때마다 근시 발병 위험이 21%씩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연구팀은 디지털 화면 사용 시간과 근시 위험 간 관계를 밝히기 위해 의·생명 학술 데이터베이스(PubMed, EMBASE 등)에서 관련 연구를 검색해 33만5524명(평균 연령 9.3세)이 참여한 45개 연구를 선별하고, 체계적 검토와 용량-반응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스마트폰, 태블릿, 게임 콘솔, 컴퓨터, TV 등 디지털 화면 기기 사용 시간이 하루 1시간에서 4시간 사이일 때 근시 위험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시 발병 확률은 스크린 타임이 1시간 증가할 때마다 21% 높아졌다.

 

어두운 곳에서 스마트폰을 보면 안압을 높여 녹내장을 유발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근시 위험은 스크린 타임이 1시간 미만일 때는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1~4시간 구간에서 급격히 높아지고, 4시간 이상일 경우 증가율이 다시 낮아져 S-자 형태 그래프를 그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는 근시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디지털 화면 사용 시간의 잠재적인 안전 임곗값이 하루 1시간 미만임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 디지털 화면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하루 1시간 늘어날 때마다 근시 발병 위험이 21%씩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한편 어두운 곳에서 스마트폰 화면을 보면 다양한 안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녹내장이 대표적이다.

 

녹내장은 시신경이 지속적으로 손상되는 병이다. 눈에서 받아들인 시각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과 신경섬유층에 손상이 생기는 것으로 실명의 주요 원인 중 하나다.

 

박성은 세란병원 안과센터 과장은 “스마트폰을 할 때는 밝은 곳에서 정자세로 화면을 보는 것이 좋다”며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예방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빠르게 안과에 내원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홍화연 '깜찍한 손하트'
  • 김민주 '신비한 매력'
  • 진기주 '해맑은 미소'
  • 노정의 '시크한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