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주기 맞춤 교육프로 제공
대상자 늘려 2만4000명 선발
폐업 후 재창업 체계적 지원도
3월 10일까지 누리집서 접수
서울시가 소상공인 생애주기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2025년 서울시 소상공인 종합지원’ 규모를 확대한다. 국가경제 허리를 담당하는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통해 침체된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취지다.
23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 소상공인 종합지원은 ‘창업기-성장기-재도전기’ 단계별 필요한 지원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올해의 경우 △창업지원 △경영 안정화 △위기 극복 △재도전 4개 핵심분야 속 8개 사업에 250억원이 투입된다. 지원 규모는 지난해보다 5800명 늘어난 2만4000여명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다. 사업 주체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자영업지원센터가 맡는다.
시는 창업지원을 위해 업종별·유형별 세분화된 특화 창업교육을 1만명에게 제공할 방침이다. 성공한 선배 기업인의 노하우를 현장에서 체험할 수 있는 현장멘토링(160명)도 진행한다. 예비창업자와 창업 3년 이내 소상공인에 대한 업종별 컨설팅을 5000회 실시해 안정적인 시장 안착을 도울 방침이다.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안정적 경영과 실질적 매출 증대를 돕는 맞춤형 지원도 강화한다. 시는 지난해 신설된 위기 소상공인을 대상 상품·마케팅 횟수 제한 없는 ‘끝장컨설팅’ 지원 분야를 기존 20개에서 37개로 확대했다. 중장년 소상공인 25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실습과 컨설팅을 실시하고, 시설 설비 등 컨설팅 결과에 따라 최대 300만원까지 지원하는 ‘디지털 전환 지원사업’을 지속한다.
시는 소상공인 경영위기에 대응해 선제적 구제에 나서기로 했다. 신용보증재단 보증 이용고객의 금융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설계한 ‘경영위기 알람모형’을 활용한 ‘위기 소상공인 조기발굴 및 선제지원’은 지난해 1300명에서 3000명으로 2배 이상 늘렸다.
분야별 전문가가 업체별 경영진단을 통해 ‘유지기업’과 ‘한계기업’으로 구분, 맞춤형 컨설팅도 실시한다. 올해는 내수 회복 지연 등 외부 악재를 반영해 경영위기 알람 모형에 해당하지 않더라도 위기 소상공인이 직접 지원을 요청하는 ‘공개모집’ 방식을 신설했다.
소상공인에게 재기의 기회를 열어주는 ‘새 길 여는 폐업지원’과 ‘다시 서기 프로젝트’도 지원대상을 대폭 늘렸다. 폐업 비용과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폐업지원 인원은 전년 대비 1000명 늘린 4000명이다. 시는 폐업 후 재창업을 준비하는 소상공인에게는 업종전환 등 컨설팅과 취업교육과 직업훈련, 일자리 매칭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재창업을 돕는 일대일 현장특화 프로그램 다시 서기 프로젝트도 지원 규모를 600명으로 확대·운영할 예정이다.
송호재 시 민생노동국장은 “서울경제의 버팀목인 소상공인들이 위기를 극복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도록 서울시가 끝까지 힘을 보태고 이를 통해 서울경제 활성화를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다.
올해 상반기 소상공인 종합지원 사업 참여를 원하는 소상공인은 24일부터 3월10일까지 ‘서울시 자영업지원센터’ 누리집에서 모집 분야 확인 후 신청하면 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