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대생 복귀 시한으로 잡았던 31일 기준 전국 40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가운데 38개 의대 학생들이 전원 복귀했다.
지난해 2월 정부의 증원 발표에 반발해 집단휴학으로 파행했던 의대 교육이 1년여 만에 정상화 될 전망이다.

의료계와 대학 등에 따르면 이날 기준 40개 의대 가운데 38곳의 의대생 사실상 전원이 1학기 등록 또는 복학 신청을 마쳤다.
일부 대학은 이날 밤 12시 마감 전까지 전원 완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원 복귀’ 하지 않은 의대 2곳은 인제대와 한림대다.
두 대학을 제외하더라도 40개 의대 중 95%에 해당하는 38개 대학의 학생들이 모두 돌아오면서,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058명을 약속한 대신 ‘이달 내 전원 복귀’ 기준을 충족할 가능성이 커졌다.
교육부도 전원의 의미에 대해 100%가 아니라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정부는 등록 자체가 아닌 수업 참여도를 기준으로 전원 복귀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복학하더라도 4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강의를 실제로 듣느냐에 달렸다.
교육부의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 발표도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지켜본 뒤 이르면 다음 주에나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학생들이 복학 후 재휴학하거나 수업에 불참한다면 진짜로 복귀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내년도 의대 모집인원은 기존 정원인 5058명이 유지된다.
구연희 교육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등록금을 납부했다고 복귀했다고볼 수 없다”며 “실제 수업 참여 여부를 보려면 시간이 더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