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판결 공정해야 혼란 최소화”
李,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 참석
“국가 폭력 국민 희생 더는 안돼”
“尹 탄핵” 57% “직무복귀” 35%
“내일이면 내란수괴 윤석열은 파면될 것이다. 헌법에 따른 결론은 파면이고, 국민의 명령도 파면이다.”(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정치권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했다. ‘탄핵 기각’을 희망하는 여당은 “판결에 승복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탄핵 인용’을 기대하는 민주당은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며 강경 태세를 이어갔다.
여당은 헌재의 ‘올바른 판결’과 ‘정치권의 승복’을 강조하면서도 ‘기각·각하’를 위한 막판 여론전에 집중했다. 권 위원장은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헌재가 국민들께서 납득할 수 있는 공정한 판결을 내려야만 판결 이후에 갈등과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국민의힘은 대통령 탄핵심판 판결에 승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당 지도부는 윤 대통령 복귀를 염두에 둔 개헌 청사진을 밝히면서도 높은 ‘탄핵 찬성’ 여론을 고려해 장외 여론전엔 거리감을 유지하는 모양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31일부터 2일까지 전국 유권자 1001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윤 대통령을 파면해야 한다’는 탄핵인용 여론(57%)이 ‘윤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 해야 한다’는 기각 여론(35%)을 앞섰다.

다만 친윤석열계 주도로 결집한 50여명의 여당 의원들은 전날부터 선고 당일인 4일 오전 1시까지 헌재 인근 안국역 앞에서 24시간 탄핵반대 릴레이 시위를 강행하며 총공세에 나섰다. 이날 5선 중진 김기현 의원은 “민주당의 대통령에 대한 탄핵은 사기탄핵임이 명확하게 드러났다”며 헌재를 압박했다.
민주당은 서울 광화문 천막당사와 탄핵찬성 집회 참석 등 비상행동을 이어가며 막판 총력전에 나섰다. 특히 이날 민주당 지도부는 ‘12·3 비상계엄 사태’를 ‘제주 4·3 사건’에 비유하며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했다.
이재명 대표는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제주 4·3 계엄에 의한 국민 학살이 단죄되지 못해 1980년 5월 계엄령에 의한 국민 학살이 이어졌다. 그에 대한 책임 역시 완벽하게 묻지 못해 오늘날 다시 계엄에 의한 군정을 꿈꾸는 황당무계한 일이 일어났다”고 비판했다.

박 원내대표는 천막당사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불법 부당한 국가 폭력에 의한 국민의 희생은 이 땅에서 다시는 일어나지 말아야 할 반헌법적, 반민주적, 반인륜적 중대 범죄”라며 “헌법 수호자인 헌재가 내일 헌법 파괴범 윤석열을 주저 없이 파면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여야가 여론전을 지속하며 불복 여론이 높아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NBS조사에서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44%로, 전주(40%)보다 늘었다. 특히 진보층에선 10명 중 6명(59%)이 불복 의사를 드러냈다. 전주(50%) 대비 9%포인트 오른 수치다. 보수층에서도 45%가 불복 의사를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