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가격 인하로 손해 감수하더라도 고객 유입 우선시하겠다는 전략”
음식점과 주점업 소비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회복세를 보이다가 최근 1년 반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외식 물가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술 소비가 줄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일부 음식점들이 소주와 맥주 가격을 인하하는 ‘물가 역주행’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주(외식) 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1.3% 하락해 지난해 9월(-0.6%) 이후 7개월 연속 내림세를 기록했다. 맥주(외식) 가격도 -0.7%를 기록하며 지난해 12월(-0.5%) 이후 4개월 연속 하락했다.
소주(외식)와 맥주(외식) 항목은 일반 음식점에서 판매되는 주류 가격을 반영한다. 소주(외식) 물가가 전년 대비 하락한 것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0년 1월 이후 2005년 7월(-0.8%) 단 한 차례뿐이다. 맥주(외식) 가격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도 1999년 7~11월 이후 약 26년 만의 일이다.
업계에서는 손님을 끌기 위해 ‘소주 반값’, ‘맥주 무료’ 등의 프로모션을 내세우며 술값을 낮추는 곳이 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가격 인하로 손해를 감수해도 고객 유입을 우선시하겠다는 전략이다.
최근엔 저가형 포장마차 스타일의 술집들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맥주 한 잔 1900원, 닭날개 한 조각 900원 등의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한 프랜차이즈 포차는 2023년 말 영업을 시작한 이후 현재 전국에 180곳 이상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또 다른 프랜차이즈 고깃집은 소주와 맥주를 각 2000원에 판매하며 최근 220곳 이상으로 지점을 확대했다. 1년여 만에 두 배 이상 성장한 셈이다. 이처럼 저가형 술집의 급성장은 주변 일반 음식점들에도 가격 인하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단순한 가격 인하를 넘어 업계 전반의 변화 조짐을 시사한다고 말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회복세를 보이던 음식점·주점업 소비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외식 물가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라며 “소주·맥주 가격 하락은 외식 수요 회복을 이끌던 가격이 이제는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저가형 술집의 확산은 가격 경쟁 심화를 의미한다”며 “이는 업계 전반의 가격 재조정, 소비자 맞춤형 서비스 전략이 더욱 요구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