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초고율 상호관세 부과로 직격탄을 맞게 된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한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다.
태국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미국산 수입 확대 방침을 재차 밝혔다.

7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전날 성명을 통해 미국산 에너지, 항공기, 농산물 수입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패통탄 총리는 피아치 춘하와치라 부총리 겸 재무부 장관이 이끄는 대표단이 이번 주 미국을 방문해 무역 문제를 논의하며 '태국은 미국에 대한 수출국일 뿐만 아니라 미국의 동맹이자 신뢰할 수 있는 친구'라는 점을 강조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그는 미국 상호관세가 태국 전자제품, 가공식품, 농산물 수출 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수입 장벽 완화, 태국을 통한 타국 제품 재수출 억제 방침도 밝혔다.
패통탄 총리 성명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고율 상호관세에 대한 대응이 다른 아세안 지도자들에 비해 느리다는 비판 속에 나왔다.
미국은 태국에 상호관세율 36%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미국은 태국의 최대 수출국이다. 태국은 지난해 미국을 상대로 456억 달러(약 67조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도 비상이 걸렸다.
상호관세율이 46%에 달하는 베트남도 긴급 대응에 나섰다.
AFP통신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공식 서한에서 상호관세 부과 시점을 최소 45일 연기해달라고 요청했다.
럼 서기장은 서한에서 호 득 폭 부총리에게 가능한 한 빨리 합의에 도달하는 것으로 목표로 미국과의 협상을 맡겼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트럼프 대통령과 다음 달 말 미국에서 만나 관세 문제를 마무리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럼 서기장이 최근 통화에서 "미국과 협정을 맺을 수 있다면 베트남의 관세를 '0'으로 낮추고 싶다"고 말했다고 전한 바 있다.
베트남은 지난해 중국·유럽연합(EU)·멕시코에 이어 미국 교역 상대국 중 4번째로 큰 1천235억 달러(약 181조원)의 대미 흑자를 기록했다.
필리핀도 미국 상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크리스티나 로케 필리핀 통상산업부 장관은 이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하 계획이 있다"며 관세 인하 품목을 논의할 것이라고 취재진에게 말했다.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상호관세율은 17%로, 동남아 주변국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로케 장관은 지난 4일에는 이웃 나라보다 낮은 관세율을 활용해 반도체, 코코넛, 망고 등을 미국에 더 많이 수출할 계획이라고 말한 바 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