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8일 부정 경력채용 의혹이 제기된 고위직 간부 자녀 10명에 대해 임용취소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이날 “지난 2월 감사원이 발표한 ‘선거관리위원회 채용 등 인력관리실태 감사보고서’에는 고위직 자녀 등에 대한 징계 등 처분 요구가 없었으나, 자체 조사와 법률 검토를 거쳐 이들에 대한 임용취소 처분 관련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선관위는 지난주 10명에게 청문 출석을 요청하는 통지서를 보내는 등 당사자 의견을 듣는 절차를 진행 중이다.
채용 비리에 연루돼 감사원에서 징계를 요구한 18명 중 16명도 징계했다. 지난달 징계위원회를 열어 6명은 파면과 정직 등 중징계를, 10명은 감봉과 견책 등 경징계 처분을 내렸다. 2분에 대한 처분은 추후 재논의할 방침이다.
앞서 선관위는 일부 고위직이 동료 직원의 자녀를 합격시키기 위해 면접 점수를 조작하거나, 채용 인원을 초과해 자녀를 채용하는 등 부정 사례가 적발되며 논란이 일었다. 감사원 조사에서 적발된 사례는 878건으로, 이 중에는 단순 행정 실수 등 경미한 사례도 있지만 김세환 전 사무총장 아들 건과 같은 심각한 비위도 있었다.

김 전 총장은 2020년 1월 채용 인원이 초과된 인천 선관위에 정원을 한 명 더 늘리라고 한 뒤 자신의 아들이 뽑히도록 했다. 3명의 면접위원 모두 김 전 총장과 친분이 있는 내부 직원으로 구성됐고 이 중 2명은 만점을 줬다. 선관위 직원들은 김 전 총장의 아들을 ‘세자’라고 불렀다.
감사원은 채용 비리에 가담한 전현직 직원 27명을 직권 남용, 위계 공무집행 방해, 허위공문서 작성, 증거인멸, 청탁금지법 위반 등 혐의로 검찰에 수사 요청했다. 수사 의뢰 명단에는 김세환∙박찬진 전 사무총장과 송봉섭 전 사무차장 등이 포함됐다.
선관위 관계자는 “이번 이번 임용취소 처분 절차를 시작으로 국민 신뢰를 회복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