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 관세전쟁에 환율 요동… 물가가 불안하다

입력 : 2025-04-08 20:33:15 수정 : 2025-04-08 20:33:1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전문가들 ‘선제적 대응’ 필요성 지적

계엄으로 오른 환율, 관세 충격까지 덮쳐
7일 33.7원 ‘껑충’… 5년 만에 최대 상승
전일 주간 1473.2원… 금융위기 후 최고치

수입 제품값 자극… 물가 상방 압력 작용
최근 식품업체들 잇단 가격 인상도 악재
물가 불안 땐 내수 침체·서민 고통 가중
“정부, 통상 채널 다각화 등 적극 나서야”

‘미국발 관세충격’으로 향후 물가 경로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소비자물가 상승폭이 2% 안팎에 머물고 있지만, 글로벌 통상 전쟁 우려 속에 원화 가치 하락세가 계속될 경우 수입물가 상승을 부추겨 전체 물가 오름세가 당초 전망보다 커질 수 있어서다. 8일 원·달러 환율은 1473.2원(주간거래 기준)까지 치솟으며 금융위기 때인 2009년 3월13일(1483.5원) 이후 16년여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최근 2∼3년 물가의 누적 상승폭이 컸던 상황에서 또다시 물가 불안이 현실화할 경우 내수 침체는 물론 서민들의 생활고를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가 선제적으로 물가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이날 통계청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로 2월(2.0%)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1.6%로 낮아진 뒤 12월까지 1%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후 올해 1월 2.2%로 올라선 뒤 2% 안팎에 머물고 있다.

문제는 고환율 현상이 지속되면서 향후 물가가 예상보다 더 크게 오를 수 있다는 점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올해 1월 원·달러 환율은 전년 동월 대비 10.0%(월평균) 올랐고, 2월과 3월에도 각각 8.5%, 9.5% 상승했다. 지난해 9월만 해도 달러당 1334.82원이었던 환율은 10월 1361.00원, 11월 1393.38원으로 상승한 뒤 불법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한 12월 1434.42원까지 올랐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은 환율 불안에 기름을 붓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부터 10%의 기본관세를 시행한 데 이어 9일부터는 우리나라(25%)를 비롯한 주요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특히 미국의 54% 관세 부과 조치에 맞서 중국이 9일부터 34%의 보복 관세로 대응하겠다고 밝히는 등 글로벌 무역 전쟁이 현실화하고 있다. 주요국의 통상 마찰은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이어지고, 이는 안전자산 선호 심리를 자극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를 하락시키는 원인이 된다. 실제 7일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33.7원 오른 1467.8원을 기록하며 코로나19 이후 5년 만에 가장 크게 상승했고, 이날은 1473.2원까지 뛰며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이 미국발 관세 전쟁에 대응해 위안화를 절하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경우 위안화 동조 성향이 강한 원화가 추가 하방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점 역시 불안 요소다.

환율이 오르면 원화로 환산한 원자재 가격이 올라 기업 부담이 늘고, 수입제품의 가격이 상승한다. 이는 국내 전체 물가를 밀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KDI는 최근 ‘경제동향 4월호’를 통해 “높은 환율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향후 소비자물가의 상방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정치적 혼란기를 틈타 식품업체들이 잇달아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는 것도 물가엔 악재다. 통계청에 따르면 가공식품 물가는 지난달 3.6% 상승하며 2023년 12월(4.2%) 이후 15개월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실제 CJ제일제당은 만두나 햄 가격을 인상했고 농심도 지난달 17일부터 라면과 과자 출고가를 올렸다. 롯데리아·한국맥도널드·KFC 등 버거·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도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올해 1월 정부가 내놓은 물가상승률 전망치(1.8%)보다 오름폭이 더욱 커질 경우 서민들의 시름은 더욱 깊어질 수밖에 없다. 최근 물가가 2% 안팎에서 등락하고 있지만 윤석열정부 초기 물가가 워낙 크게 뛰어 체감 물가는 오를 대로 오른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3월 소비자물가는 3년 전인 2022년 3월과 비교해 9.6% 올랐고, 2년 전인 2023년 3월 대비 5.2%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관세충격으로 물가의 불확실성이 짙어진 만큼 정부의 정책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허진욱 숙명여대 경제학부 교수는 “관세 요인으로 향후 물가가 요동칠 가능성이 있다. 다만 미국의 자산시장이 먼저 충격을 받고 있기 때문에 환율 경로를 통한 물가상승은 글로벌 금융위기 등에 견줘 상대적으로 낮을 순 있다”면서 “관세 전쟁이 물가에 미칠 파장을 줄이기 위해 통상 채널을 다각화하고, 대안적인 무역 경로를 개발하는 등 정부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